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뉴스
"
넓은
"(으)로 총 1,152건 검색되었습니다.
번개는 왜 피뢰침을 좋아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7.14
특성을 지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애경 박사는 "사람도 전기가 흐르는 도체라
넓은
공터에 서 있다면 충분히 '피뢰침 역할'을 할 수 있다"면서 “낙뢰사고 원인을 휴대폰 사용으로 추측하는 건 잘못”이라고 말했다. 특히 낙뢰는 같은 높이라도 끝이 둥근 곳보다 ‘뾰족’한 곳으로 ... ...
넓은
논 사라지니 수원청개구리도 줄어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7.11
사라지게 된 것으로 보이는 만큼, 수원청개구리 멸종을 막기 위해서는 평야지역의
넓은
논을 보존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 특이성을 밝힌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한국양서파충류학회장 오홍식 제주대 교수는 “국내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시민 참여 과학의 성공 ... ...
"표준은 조선시대 탐관오리도 벌벌 떨게 해"
동아사이언스
l
2013.07.04
아니면 지상 1~2층 이내에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 표준연구원들을 가봐도 부지가
넓은
편입니다.” - 일반인들은 원자력이나 항공우주, 핵융합, 식품연구원 하면 ‘뭐 하는 곳이구나’라고 감이 잡힌다고 하는데 ‘표준과학연구원’하면 도대체 뭐하는 곳인지 잘 모르겠다고 얘기하는 ... ...
매미와 귀뚜라미 노래가 들리면 신고하라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7.01
LG컨벤션홀에서 발대식을 열며 시작됐다. 현장에서 장이권 교수는 “생태 연구는
넓은
지역을 조사해야 해 연구자들이 연구하기 어려워한다”며 “하지만 전국망을 갖춘 지구사랑탐사대는 이런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게 해 새로운 연구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탐사대 활동이 ... ...
반구대 암각화 뚫고 환생한 한반도 고래
과학동아
l
2013.06.27
물을 뿜는 행동이 묘사돼 있다. 이 고래는 북방긴수염고래일 개연성이 크다. 뭉툭하고
넓은
가슴지느러미 모양과 활처럼 아래로 휜 아래턱의 모습 때문이다. 안 연구사는 “전체적인 몸의 곡선이나 가슴지느러미 모양은 귀신고래와도 비슷하지만, 입 모양이 다르다”고 말했다. 또 북방긴수염고래가 ... ...
이웃별에서 지구 닮은 행성 찾기
동아사이언스
l
2013.06.24
7만 년 이상 걸려 센타우루스자리 프록시마는 지구에서 매우 가깝기 때문에 하늘에서
넓은
범위에 걸쳐 멀리 있는 별들에 미시중력렌즈 효과를 미칠 것이다. 하지만 별들의 위치 변화는 아무 망원경으로나 감지할 만큼 크지는 않다. 2014년 10월과 2016년 2월에 프록시마의 미시중력렌즈 효과를 ... ...
인터넷 쇼핑, 이제는 만져보고 고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장치가 개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손바닥을 올려놓을 수 있는
넓은
‘판’ 모양의 컴퓨터 마우스를 만들었다. 보통 마우스처럼 컴퓨터 화면을 조작할 수 있지만 다양한 촉감도 전달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 마우스 내부에 미세한 고속 진동 장치를 넣어 표면의 ... ...
미래형 첨단 전자소자 대량 생산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정해진 방향으로 성장시키기 위해 패턴을 만드는 과정에 시간과 비용도 많이 들어
넓은
면적으로 대량생산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촉매나 패턴 공정 없이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해 반도체 나노선을 넓게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실리콘 기판 표면을 양이온으로 처리한 뒤, 음전하를 띤 ... ...
과학사를 알면 '科技강국' 가까워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09
1주일 전에 물리로 결정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학 시절 과학사를 공부했던 경험은
넓은
관점을 갖게 되는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과학사는 인문학과 과학이 만나는 접점일 뿐 아니라 중요한 과학적 사실의 배경을 아는 것은 결국 지식 자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됐다는 말이다.. ... ...
힉스에서 우주까지, 우리 안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26
자연의 역사와 인간의 역사를 하나의 ‘지도’ 안에 그려내 현재 우리가 처한 문제를
넓은
관점에서 볼 수 있게 돕는다. 예를 들어 식량 문제를 해결하려면 유전자 조작이라는 과학적 방법뿐만 아니라 윤리적 문제라는 인문학적 고민이 필요하다. 또 인구가 증가한 이유와 과정을 알아야 미래의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