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지면"(으)로 총 1,66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북한의 6번째 핵실험...수소폭탄 맞나?동아사이언스 l2017.09.03
- 징후를 미리 알아내려 하는 정도입니다.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일단 핵실험이 이뤄지면 지진파를 탐지해 핵실험 실시 여부와 위력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지하에서 핵실험을 하면 그 충격으로 지진파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핵실험 등으로 인한 인공지진은 자연지진에 비해 지진파 중 종파(P파 ... ...
- [카드뉴스] 거짓말 잘하는 방법동아사이언스 l2017.08.30
- 어떤 존재가 되려고 노력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어떤 사람의 감각이 자신의 것처럼 느껴지면, 우리는 그 사람이 될 수 있다는 것이죠. 좋은 거짓말은 진실에서 아주 조금만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상대방이 속은 걸 알아차리더라도 기분 나빠하지 않을만한 거짓말이어야 합니다. 누군가에게 ... ...
- 고등학생이 발명한 '쓰러져도 물 흐르지 않는 페트병 마개'동아사이언스 l2017.08.16
- 단단하게 고정하고, 안쪽 마개(이동부)는 페트병 내부 액체에 인위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움직일 수 있게 만들었다. 바깥 마개와 안쪽 마개의 측면에는 각각 다른 위치에 유체가 흘러나올 수 있는 큰 구멍이 뚫려 있는데, 안쪽 마개가 병 입구 쪽으로 이동해야 구멍의 위치가 맞아 떨어져 내용물이 ... ...
- 스타크래프트 2, 인간이 인공지능을 이길까? 동아사이언스 l2017.08.14
- 5명으로 구성된 다른 팀과 5:5로 대결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이렇게 참여자가 많아지면 인공지능이 고려해야 할 사항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납니다. 여러 명이 팀을 이뤄 게임하는 상황에도 잘 대처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인공지능의 실력을 높이는 것이 관건입니다. 블리자드 제공 ... ...
- [ESC의 목소리 (16)] 미래의 과학교육을 생각한다2017.08.07
- ESC)가 주관한 '과학과 기술이 즐거운 나라‘ 포럼 중 과학교육 파트를 맡아 발표했다. 이 지면을 빌어 그날의 이야기를 다시 전해보고자 한다. 1. 학생중심 교육과정 "우리는 역사상 어느 때보다 여러 가지 지식을 갖고 있지만, 역사상 어느 때보다도 미래를 예측할 능력이 적은 시대를 맞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2017.07.25
- 인한 냉각효과가 상쇄된다. 결국 피부의 수분은 제대로 증발되지 못해 쌓이고 양이 많아지면 땀방울로 흘러내리게 된다. 즉 증발로 인한 냉각효과를 보지 못하면서 체내 수분만 잃게 되는 셈이다. 이처럼 피부에 땀이 번들거리게 되면 그 무게로 인한 약간의 압력이 습도로 느껴지게 된다. 아울러 ... ...
- 도체인 듯 부도체인 듯 ‘위상부도체’, 예상보다 훨씬 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7.23
- 알려진 특정 에너지 준위에 존재한다고 본다. 이 이론에 따르면, 밴드가 전부 전자로 채워지면 전자는 움직이지 못하고 물질은 부도체가 된다. 반면 일부 공간이 비어있을 경우에는 원자에서 원자로 전자가 이동할 수 있고,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연구진은 먼저 도체를 제외하고 자연계에 ... ...
-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과학동아 l2017.07.22
- 저수 시설 때문에 유속이 느려지고, 생활 하수 등에서 흘러나오는 영양염류가 많아지면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녹조는 심각한 사회 문제다. 중국 타이후 호의 모습. 이 호수의 녹조를 이용해 울트라 3 에코를 만들었다(맨 위 사진). 신발 하나를 만들 때마다 216L의 물을 깨끗히 할 수 있다. - ... ...
- 꽃이 지면 몸을 떠는 꽃병 팝뉴스 l2017.07.18
- 후지와라 케이수케의 작품이다. 눈물을 닮은 꽃병은 감수성(?)도 빼어나다. 꽃잎이 지면 가늘게 흔들리게 되어 있다. 몸을 떨면서 꽃잎이 지는 것을 슬퍼하는 걸까. 오뚝이처럼 무게 중심이 아래쪽에 있도록 만들어졌다. 무게 설계가 섬세해 꽃이 지는 것에 반응할 수 있는 것이다. ※ 편집자주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⑪ 외국인 혐오증은 진화적 본성이다?2017.07.16
- 사람이 없어지면 곧 허물어진다. 그러나 아무리 허술한 길이라해도, 오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큰 길로 변하게 된다. 한국 사회는 열린 길의 사회일까? 굳게 닫힌 성의 사회일까? - Pamela Adam 제공 ※ 필자소개 박한선. 성안드레아병원 정신과 전문의. 경희대 의대 및 대학원을 졸업하고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