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기"(으)로 총 4,11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날아라! 태양광 무인비행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10km를 비행로로 이용해요. 고도 14km의 성층권은 온도가 영하 60℃이며, 고도 10km에 비해 공기 밀도가 53%밖에 되지 않아 일반 비행기는 날기 어렵지요. 하지만 구름이 없어 항상 태양빛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태양광 무인기에게는 더 없이 날기 좋은 곳이랍니다.EAV-3는 날개 길이가 20m나 되지만, 탄소 ...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자원을 얻으려는 시도를 하고 있단다.빛으로 만드는 탄소화합물광합성은 식물이 햇빛과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에너지원인 포도당(탄소화합물)을 만드는 과정이에요. 포도당을 만들고 나면 물(수증기)과 산소가 나오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포도당은 식물의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또 다른 ... ...
- [대결~! 섭섭박사를 이겨라!] 가장 멀리까지 달려라! 고무줄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기체로 변한 뒤 외부 공기와 섞여요. 처음부터 기체 상태였던 연료 역시 외부에서 들어온 공기와 섞여요. 물질은 액체일 때보다 기체일 때 주변과 닿는 면적이 훨씬 넓어요. 그래서 전압이 높은 전류를 만나면 거의 폭발하듯 불이 붙는 거예요. 가스나 가루 상태로 있던 물질이 작은 불꽃에도 큰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오물로 오염된 템즈강의 물이 가정에 공급된다는 사실도 알아냈지요. 그는 병의 원인이 공기가 아니라 오염된 물을 마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오염된 물이 콜레라를 퍼뜨린다는 논문을 썼어요.스노의 논문을 통해 공중 위생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바뀌었어요. 거리에 똥을 버리면 처벌한다는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 (科學)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주로 적도 부근에 있는 수온 27℃ 이상의 열대 바다에서 만들어져요. 태풍의 중심에는 공기가 위쪽으로 향하는 운동이 강하게 일어나는데, 따뜻한 바다를 지나면서 수증기를 잔뜩 빨아들여 커다란 구름 떼를 이루지요. 이렇게 커진 태풍은 1초에 17m를 이동할 만큼 빠른 속도로 부는 바람과 세차게 ... ...
- 전자레인지 원리로 검은 흙을 하얗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600~700℃로 온도를 높이는 거예요. 그러면 토양에 붙어 있던 기름이 공기 중으로 날아가 없어진답니다.이 기술은 기존의 화석 연료를 사용하던 방식에 비하면 비용은 5분의 1로, 시간은 2분의 1로 줄일 수 있어요. 그리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10분의 1로 줄일 수 있죠. 그러면서도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덕분에 ‘지구의 허파’라는 별명을 갖고 있어요. 열대우림의 식물들이 광합성을 하면서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계속 빨아들이고 대신 산소를 내뿜고 있기 때문이에요. 과학자들은 지구 전체 산소의 약 28%를 아마존을 비롯한 열대우림이 책임지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그 때문에 아마존 열대우림이 ... ...
- 드론 미래를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어떤 모습으로 발전할지 상상해 보자! 드론, 인공위성을 대신하다!지금은 드론이 항공기처럼 상공에서만 날 수 있지만, 미래에는 우주를 날아다닐 수도 있어요. 만약 드론이 정말 우주를 비행할 수 있다면 인공위성이 하는 일을 대신할 수 있지요. 현재 인공위성을 우주에 보내기 위해서는 엄청난 ... ...
- [가상인터뷰] 사막의 더위를 이기는 사하라 은색개미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사하라 사막은 보통 최고 기온이 38~40℃, 최저 기온이 13~20℃ 정도 되지요. 모래는 공기보다 더 잘 달궈지기 때문에 사하라 사막에서는 한낮에 모래의 온도가 70℃까지 높아져요. 그래서 모래를 기어다니는 우리는 집 밖에 나가서 10분 안에 먹이를 구해 빨리 돌아와야 해요. 그렇지 않으면 우리 체온이 ...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예를 들어, 휴보 다리에 뽕뽕 뚫린 구멍이 보이죠? 모터가 과열되는 걸 막기 위해 고효율 공기 냉각장치를 단 거예요. 하지만 이런 로봇은 구멍 사이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는 밖에서 쓸 수 없겠지요.또한 휴보가 안정적으로 잘 걷긴 하지만, 사람하고는 차이가 커요. 사람이라면 1m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