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보도
정보
뉴우스
뉘우스
소문
신문
d라이브러리
"
뉴스
"(으)로 총 3,60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뉴스
] DNA 그물로 감싼 약물, 유전자가위로 싹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미국 연구팀이 유전자가위를 이용해 새로운 약물 전달 기술을 개발했다. 제임스 콜린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생명공학부 교수팀은 3세대 유전자가위로 불리는 크리스퍼(CRISPR)를 이용해 약물을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신소재를 만들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23일자에 발표했다. ... ...
[과학
뉴스
] 시민들이 밝혀낸 '스티브'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시민들이 밝혀낸 ‘스티브’의 비밀 오로라와 닮은 위 사진은 오로라보다 좀 더 낮은 위도에서 생기는 자연 현상 ‘스티브’예요. 밤하늘에 빛나는 분홍빛 띠 형태로 나타나며 보통 ‘피켓 울타리’라 불리는 초록빛 수직 기둥과 함께 나타나지요. 지난 4월 16일, 미국 보스턴대학교 연구팀은 ... ...
[과학
뉴스
]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외계 행성의 대기에서 물의 존재가 확인됐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물리학및천문학부 연구팀은 사자자리에 있는 외계 행성인 K2-18b의 대기에서 수증기가 존재할 가능성을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9월 11일자에 발표했다.지구에서 약 111광년 떨어진 적색왜성 K2-18을 공전하 ... ...
[과학
뉴스
] 아프리카돼지열병 국내 첫 발병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폐사율이 거의 100%인 치명적인 돼지 전염병인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발생했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9월 16일 경기도 파주시 한 양돈농장에서 폐사한 돼지가 국내 첫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으로 확진된 데 이어, 18일에는 연천군에서도 확진 돼지가 나왔다.아프리카돼지열병 ... ...
[과학
뉴스
] 딥 러닝으로 엘니뇨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다량의 데이터를 기계학습 알고리즘에 학습시켜 데이터의 핵심 패턴을 뽑아내는 딥 러닝(Deep Learning) 기법으로 엘니뇨를 예측할 수 있게 됐다.함유근 전남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엘니뇨 예측 모델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9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엘니뇨는 ... ...
ebay에 경매로 나온 명품 공룡 화석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이 박물관은 2013년 개관했다.필자는 2014년에 처음으로 이 박물관을 방문했다. 지금은
뉴스
에 나온 17마리보다 훨씬 많은 공룡 화석들이 전시돼 있다. 모두 불법으로 해외에 반출됐다가 돌아온 것들이다. 이들을 보고 있으면 그동안 이렇게 많은 공룡 화석들이 도굴됐다는 사실에 씁쓸함이 밀려온다. ... ...
[수학
뉴스
]키리가미로 어떤 모양이든 만들 수 있다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펼치면 입체가 튀어나오는 팝업북은 종이를 잘라 여러 가지 모양을 만드는 예술인 ‘키리가미’의 원리를 이용한 것입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연구팀이 키리가미를 이용하면 종이뿐만 아니라 어떤 물질이든 다양한 모양으로 만들 수 있다는 수학적 근거를 제시했습니다.종이를 접어서 입체를 만 ... ...
[수학
뉴스
] 2020 브레이크스루상 수학상, 알렉스 에스킨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2020 브레이크스루상 수학 부문 수상자로 알렉스 에스킨 미국 시카고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선정됐습니다. ㅁ 브레이크스루상은 기초물리학과 생명과학, 그리고 수학까지 세 분야에서 수상자를 선정하는데, 미국의 영화상인 오스카상만큼 화려한 시상식을 열어 ‘과학계 오스카상’이라 불리지요. ... ...
[과학
뉴스
] 태양 질량의 2.17배 역대 가장 무거운 중성자별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중성자별은 질량이 큰 별의 중심핵이 중력에 의해 붕괴되면서 만들어진 별이다. 중성자별은 우주에서 가장 밀도가 높은 천체 중 하나다.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 연구팀은 2012년 미국 그린뱅크천문대의 전파망원경으로 관측한 중성자별 J0740+6620의 펄스파를 분석한 결과, 이 중성자별이 지금까지 관 ... ...
[과학
뉴스
] 열대 지방의 배신,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고?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열대 지방은 식물이 많고 숲이 우거져 지구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지구의 허파’로 불리는 아마존이 대표적이다. 그런데 영국 에든버러대 연구팀이 인공위성을 이용해 조사한 결과 북아프리카 열대 지방은 다른 열대 지방과 달리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기보다는 배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