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날"(으)로 총 2,69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학이 사라진 아침수학동아 l2010년 10호
- “수학이 없다면 얼마나 좋을까? 누가 세상에서 수학을 없애 주면 좋겠어.”“내가 없애 줄까? 난 수학나라 요정이야. 대신 나중에 후회하기 없기다.”“수학이 없어진다면 ‘올레~!’지 뭐. 하하….”“좋아. 내 마법이 내일부터 네 몸에서 수학방해파를 만들어 줄 거야. 이제 푹 자도록 해.”수학 ... ...
- 신호는 도로 관리자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내 길은 언제나 녹색 신호등주말을 맞아 영화를 보러 가는 길. 미리 예매는 했는데 버스가 말썽이다. 신호마다 죄다 걸리면서 마음이 자꾸 급해진다. 신호 체계는 대체 어떻게 만드는 걸까?Ⅰ, Ⅱ, Ⅲ 교차로가 있다고 하자. 각 교차로는 400m씩 떨어져 있고, 모든 교차로에서 신호는 30초마다 녹색-적 ...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10년 10호
- 다음 단계로 넘어갔다. 하지만 아이는 자기가 틀렸다는 걸 깨닫고 이를 얘기해 탈락했다. 다음날 ‘철자 대회 영웅’이 된 이 정직한 아이는 신문기자에게 “더러운 인간이 되고 싶지 않았어요”라고 당시 심정을 밝혔다.도덕 철학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18세기 철학자 두 사람은 독일의 임마누엘 ... ...
- 식물 속 천연색소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색띠 만드는 크로마토그래피 먼저 식물 색소 분리에 최초로 성공한 츠베트의 실험에 대해 알아보자. 그는 잎의 색소를 석유 에테르에 녹인 다음, 석회석 가루를 채운 유리관에 통과시켰다. 용매인 석유 에테르가 흘러내려가며 색소가 이동했다. 이때 여러 가지 색소가 각각 조금씩 다른 속도로 내 ...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오르막길에서 발 구르지 않고 자전거 타는 중!’ 어떻게 된 일이~게? 헤헤! 사실 여기는 제주도의 ‘도깨비도로’야. 왜 도깨비냐면, 보기엔 분명 오르막길인데 실제로는 7~10㎝정도 경사가 있는 내리막길이거든. 참 신기해. 어떻게 보이는것과 실제가 다를 수 있는 걸까? 띠용띠용~, 이상한 통 ... ...
- 해양동물 보전센터에서 찾은 바다 신호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0호
- 급한 호출이 두 명의 명예기자를 깨웠다. 5월 31일 바다의 날을 맞아 나경이와 은송이가 해결해야 할 사건은 사건 번호 2010-010, 일명 ‘해운대 UFO’ 사건! 부산 해운대에는 바다로 부터 주기적으로 미지의 신호음이 들려오는데, 이 신호의 정체를 밝혀 내는 것이 새 임무다.자, 그럼 현장에 침투한 명 ...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0년 10호
- 놀이에서 스포츠가 된 야구는 이기고 지는 승부가 중요하다. 한 경기 안에서는 1점을 더 내기 위한 작전이 치열하다. 한 시즌 전체의 승리를 위한 경쟁도 대단하다. 오랜 야구의 역사는 수많은 승리의 방정식을 만들었다.순위 결정의 원리 우리나라의 프로야구팀은 총 8개다. 1년 동안 1팀은 다른 7팀 ... ...
- 베르누이 원리를 입증하려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창의성의 5가지 영역유창성 : 주어진 시간에 많은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융통성 : 고정관념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사고하는 능력독창성 :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능력민감성 : 문제를 민감하게 인식하는 능력정교성 : 아이디어를 세부적인 사항까지 구체화하는 능력물리Q1. [민감성, ...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과학동아 l2010년 09호
- 만 개의 별들이 하나하나 흩어져 내 몸을 가득 채웠다.남십자자리에서 카리나 대성운까지다음날 구름이 그곳까지 따라왔다. 일곱 별잡이는 구름을 피해 다니는 도망자였다. 아니다. 맑은 하늘을 쫓는 추적자(Clear Sky Chaser)다. 다시 끝없이 펼쳐진 호주 내륙 아웃백의 평원을 달렸다. 지평선 끝에 걸린 ...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일곱 빛깔 무지개의 신비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이다. 전자기파는 각각의 파장이나 진동수에 따라 X선,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전파 등으로 불린다. 그중에서 사람이 눈으로 인식할 수 있는 380~770nm(1nm=10-9m) 파장 사이의 전자기파를 가시광선이라 부르며 흔히 ‘빛’이라고 한다. 그리 넓지 않은 이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