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있어요. 그래서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등장했지요. 생분해란 흙이나 물에 있는 미
생물
에 의해 오염물질이 분해되는 것을 말해요.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전분 같은 천연 성분으로 만든 플라스틱을 말하지요. 일반 플라스틱과 달리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나면 세균이나 조류, 곰팡이 등과 같이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밝힌 신약 개발의 걸림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교류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분자 시스템
생물
학’ 7월 8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습니다.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모습까지 알아봤는지 정말 신기할 따름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순식간에 눈앞에 지나간
생물
체가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인간의 눈은 어떻게 아는 걸까요. 우리가 수백 종의 고양이와 수백 종의 강아지를 다 외우고 사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반면 컴퓨터의 인공지능(AI)은 2012년 이전에는 고양이와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가"찜"했다? 개구리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개구리가 식물에 앉아 쉬는 모습을 본 적 있나요? 그 식물은 정말 ‘개구리자리’일지도 몰라요. 4월이면 노란 꽃을 피우는 개구리자리는 개구리가 사는 곳에 주로 나타나 이런 이름이 붙었어요. 물이 차올랐다가 빠지기를 반복하는 웅덩이나 논, 개천 가장자리가 개구리자리에겐 최고의 집이거든 ... ...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과 물리를 전공하는 학생이라도 화학이나
생물
, 정보과학 분야의 수업을 최대 4회까지 들을 수 있다.실제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중학교 1학년 재학생의 약 70%는 2개의 전공을 택했고, 주제융합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약 95%의 학생이 두 ... ...
[과학뉴스]대서양에 나타난 8850km 해조류 벨트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해양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개체수가 너무 많아지면 연안 해양
생물
의 서식에 방해가 된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운용하는 인공위성에 달린 고분해능 기상 센서 ‘모디스(MODIS)’가 기록한 19년간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13년을 제외하면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논문의 제1저자인 니콜라스 홀로카 하버드대 인간진화
생물
학과 박사후연구원은 “굳은살이 있는 경우에도 피부 표면에 있는 FA1과 깊숙이 있는 FA2 모두 민감도에서는 굳은살이 없는 사람들과 차이가 없었다”며 “굳은살이 압력을 감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전달한다는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심해저 카메라를 대신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심해
생물
자원의 샘플을 획득할 수 없는 만큼 탐사 전 해미래의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해미래는 서태평양 망간각 독점개발광구 인근 탐사 이후 괌 인근에서 해저 탐사 임무를 추가로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살포되는 화학적 방제를 선호하게 됐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방제 구역이 비교적 좁아
생물
학적 방제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볼바키아 박테리아 심은 모기 질병관리본부는 모기의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질병을 매개하는 능력을 억제하는 박테리아인 볼바키아(Wolbachia)를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시작한 계기가 있나요?제 연구가
생물
학에서도 아주 좁은 영역이라는 생각이 들면서
생물
학의 큰 범주와 제 연구를 연결시켜 보려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원 생활을 할 때였죠. 덕분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정보를 모으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제 연구를 세포 전체적인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