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 [프리미엄리포트] 韓, 무인 잠수정 ‘해미래’가 간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문제가 발생할 경우 심해저 카메라를 대신 사용할 수밖에 없다”며 “이렇게 되면 심해 생물자원의 샘플을 획득할 수 없는 만큼 탐사 전 해미래의 상태를 철저히 점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해미래는 서태평양 망간각 독점개발광구 인근 탐사 이후 괌 인근에서 해저 탐사 임무를 추가로 ...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승인이 이뤄지기 전부터, 그리고 승인이 이뤄진 뒤에도 계속된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생물다양성을 위한 아프리카 센터(ACB·African Centre for Biodiversity) 등 환경단체는 GM 모기 방사 후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 등을 이유로 강하게 저항해왔다. 마리암 마예트 ACB 총재는 “GM 모기 기술은 초기 ... ...
-
- [포토뉴스] 바다 생태계 균형 수학이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어종이 포식자와 피식자로 이뤄져 있다고 가정할 때, 포식과 어업으로 인해 전체 생물량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수학 모형으로 만들었습니다. 기존의 어업 전략과 플랭크 교수팀이 만든 모형을 통해 얻은 전략을 비교한 결과, 연구팀의 수학 모형을 따르면 생태계의 급격한 변화를 완화할 수 ... ...
-
-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과 물리를 전공하는 학생이라도 화학이나 생물, 정보과학 분야의 수업을 최대 4회까지 들을 수 있다.실제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중학교 1학년 재학생의 약 70%는 2개의 전공을 택했고, 주제융합체험활동에 참여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약 95%의 학생이 두 ... ...
-
- [화보] 지금 이곳은 한겨울, 남극풍경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남극 장보고과학기지에서 ‘제6차 장보고과학기QD지 월동연구대’로 활동 중인 이재진 생물대원이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남극 소식을 전해 왔다. 무더위가 계속되는 한국과 달리 남극은 한겨울이다. 바닷물이 꽁꽁 얼고, 블리자드(눈보라를 동반한 강풍)가 수시로 불어 닥친다고. 지난해 10월 29일, ...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논문의 제1저자인 니콜라스 홀로카 하버드대 인간진화생물학과 박사후연구원은 “굳은살이 있는 경우에도 피부 표면에 있는 FA1과 깊숙이 있는 FA2 모두 민감도에서는 굳은살이 없는 사람들과 차이가 없었다”며 “굳은살이 압력을 감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전달한다는 ...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다시 박사과정에 입학했다. 그는 “학부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했는데, 수업에서 들었던 생물공학에도 관심이 많았다”며 “처음 UST에 입학할 때는 석사과정만 마칠 생각이었는데, 입학한 뒤 나노바이오공학이라는 융합 학문을 접하면서 박사과정까지 밟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고 말했다 ...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모습까지 알아봤는지 정말 신기할 따름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순식간에 눈앞에 지나간 생물체가 고양이인지 강아지인지 인간의 눈은 어떻게 아는 걸까요. 우리가 수백 종의 고양이와 수백 종의 강아지를 다 외우고 사는 것도 아닌데 말입니다.반면 컴퓨터의 인공지능(AI)은 2012년 이전에는 고양이와 ... ...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살포되는 화학적 방제를 선호하게 됐다”며 “우리나라의 경우 방제 구역이 비교적 좁아 생물학적 방제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볼바키아 박테리아 심은 모기 질병관리본부는 모기의 수를 줄일 뿐만 아니라 질병을 매개하는 능력을 억제하는 박테리아인 볼바키아(Wolbachia)를 ...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전혀 이해 못할 콘셉트는 아니다. ‘수렴진화’ 이론이라고 해서, 서로 관련이 없는 생물도 비슷한 환경에 적응하면 비슷한 모습으로 변하는 현상이 있기 때문이다. 외계생명체라도 하늘을 날기 위해 날개를, 빛을 감지하기 위해 눈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외에는 모두 상상의 영역이다. 가령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