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대"(으)로 총 5,521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홍채인식 기술은 스마트폰으로 돈거래를 하고, 하루에 수십 번씩 잠금 화면을 푸는 요즘 시대와도 잘 맞는다. 정확하면서 동시에 빠르기 때문이다. 지문인식 기술은 센서에 닿는 손가락의 일부 지문만을 저장한다. 센서에 손가락을 여러 차례 접촉하게 해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획득해도 한계가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소를 만물을 대표하는 것으로 생각한다는 걸 알 수 있어요. 농사로 식량을 만들어내던 시대에 소가 얼마나 중요했는지 잘 알 수 있지요.비주얼 과학교과서에서 철가루, 소금, 콩 등이 뒤섞인 혼합물을 각각 분리해 봤어요. 분리는 ‘나눌 분(分)’과 ‘떠날 리(離)’로 이루어진 한자어로, 서로 ... ...
- 5가지 키워드로 본 한반도 지진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이번 지진은 이런 ‘양산단층대’에서 일어나고 있다. 양산단층대는 가장 최근의 지질시대인 제4기(259만 년 전~현재)까지 단층 운동이 있었던 곳이다. 전문가들은 경주 아래의 단층들이 어떻게 현재 모습으로 진화해왔는가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단층이 받는 응력의 변화가 어떻게 ... ...
- [Photo] 자연이라는 화가가 남긴 푸른색 팔레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높아 보이는 남동석이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광물과 명작에 남은 세월의 흔적르네상스 시대 화가들은 광물을 이용한 무기 안료를 많이 썼다. 특히 푸른색 안료로는 남동석과 청금석(라피스 라줄리, Lapis lazuli)을 즐겨 썼다. 짙은 하늘색의 청금석은 색상의 변화폭이 적고 값이 비싸지만, 남동석은 ... ...
- [재미] 마왕의 탑 9화 불어나는 토끼수학동아 l2016년 09호
- ”그때 누군가 구토하는 소리가 들렸다. 소리가 나는 곳을 쳐다보고 단은 경악했다. 중세 시대의 옷을 입고, 머리에는 두건을 두른 남자가 입에서 작은 토끼를 뱉어내고 있었다. 구역질 나는 광경에 단의 표정이 잔뜩 일그러지더니 급기야 한 손으로 입을 틀어막았다.“저는 이탈리아의 수학자…, ... ...
- [Photo] 공작석(Malachite) 문명을 진화시킨 초록색 보석광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광산도 한때 아름다운 구리 광물의 산지로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이곳은 서부개척시대 총잡이들의 활동 무대로도 악명이 높았던 곳이다. 광물은 화학적 성분 구성이 같더라도, 지질 환경의 미묘한 차이로 색상이나 모양에서 나타나는 아름다움에 큰 차이가 난다. 특히 비스비 공작석은 더 이상 ... ...
- [info] 알파고와 중력파가 던지는 미래 질문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강연을 한 김정리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연구원은 “중력파의 발견으로 새로운 천문학의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중력파가 실제로 존재한다는 사실이 확인돼 중력파, 전자기파 등 우주에서 오는 여러 신호를 통합적으로 분석하는 ‘다중신호 천문학’ 분야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만드는 건 초고층 건물들이다. 서울도 올해 ‘롯데월드타워’가 본격적인 ‘100층 시대’를 열 예정이다. 시공 중인 건물을 포함해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지역에 건설되고 있는 ‘킹덤타워(지다타워)’다. 킹덤타워는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짓고 있으며, 높이는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어둠상자처럼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30가지 발견을 소개한다. 3만2000년 전 선사시대의 인류가 달의 모양이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밟을 때까지, 장구한 천문학의 역사를 되짚는다.이 책이 특별한 건, 이 발견들을 직접 실험하면서 체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이 미생물의 도움으로 금세 병을 정복할 것 같다.하지만 역설적으로, 장내미생물 전성시대에 우리는 정작 그 주인공에 대해서는 여전히 무지하다. 마치 만병통치약처럼, 우리에게 장내미생물은 결핍 그 자체가 문제일 뿐이다. 우리는 그것의 진정한 과학적 가능성이나 배경에는 관심이 없다. 이번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