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그 친구는 정말 대단하거든. 얼마나 대단하냐면…! Q 자기소개를 부탁해!A 안녕? 내 이름은 폴라리스. 몸통 지름은 약 30cm, 몸길이는 230cm의 길고 날렵한 몸매를 자랑하는 자율수중로봇이야. 미사일처럼 생겼지. 미국 캘리포니아 몬테리만해양연구소가 2007년부터 만들기 시작한 로봇 중 하나야.내 ... ...
- [오일러프로젝트] 코딩 지니, 1부터 1000까지 영어로 썼을 때 사용한 글자수는?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일의 자릿수가 되며, 십의 자릿수에 대응하는 영어 이름을 읽고 그 뒤에 일의 자릿수의 이름을 붙이면 됩니다. 2. 서너 자릿수를 읽는 함수백의 자릿수를 읽는 방법도 십의 자릿수와 비슷하게 100으로 나눈 몫에 hundred를 붙여 읽습니다. 그리고 나머지는 일, 십의 자릿수를 읽었던 코드로 ... ...
- 2002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 만만했던 코로나바이러스 위력 처음 실감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표면에 왕관 모양의 돌기(스파이크 단백질)가 있어 ‘코로나(왕관)’라는 이름이 붙었다. 이 특이한 구조가 사스 확산에 엄청난 역할을 했다. 연구에 따르면 세포에는 ACE2라는 막관통단백질이 있는데, 이 단백질이 사스코로나바이러스와 결합하는 수용체 역할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의 ... ...
- 2016년 지카 바이러스 ┃치사율 ‘제로’에도 공포를 일으킨 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모기가 인간 감염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숲의 이름을 따서 지카 바이러스라고 이름 붙였다. 이후 지카 바이러스는 몇 차례 감염 사례가 나왔지만, 환자는 가벼운 열병 외에 별다른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감염자의 80% 이상은 아무 증세를 보이지 않고 2주 뒤 체내 바이러스가 자연스레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수 있을 만큼 강력하다. 이런 특징 덕분에 ‘살해(killer)’라는 무시무시한(?) 단어가 이름에 포함됐다. 이밖에도 자연살해세포는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의 증식을 차단하는 신호물질을 분비하며, 선천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식세포들이 바이러스 침입 부위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시험해야 한다. 초창기 단백질 백신은 서브유닛 (subunit) 백신 형태였다. 서브유닛 백신은 이름에서 짐작되듯 바이러스를 조각내, 그중 항원으로 작용하는 부위만 분리한 뒤 정제해 만든 백신이다. 서브유닛 백신은 세포전체 백신보다는 부작용 우려가 낮지만, 항원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불순물 등이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백신을 도와 바이러스와의 전쟁에서 인류를 지켜낼 강력한 무기다. 항바이러스제는 이름처럼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 이미 감염된 환자를 치료해 사망률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감염을 예방하는 백신과는 분명히 다르다. 백신이 바이러스의 공격을 막는 방패라면 항바이러스제는 ... ...
- 오가노이드, 로봇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결했거든. 뇌 오가노이드와 연결했기 때문에 로봇에는 ‘브레인봇’이라는 이름을 붙였지.크리스토퍼는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앨리슨 무오트리 교수팀이 개발한 뇌 오가노이드 소식을 접하고, 관련 과학 프로젝트를 하고 싶다고 연구팀에 직접 연락했지. 앨리슨 무오트리 교수팀은 당시 뇌 ... ...
- [동상이문] 6화 낭만과 숫자 사이 '머니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실점을 바탕으로 승률을 계산하는 공식인데, 피타고라스 정리와 비슷한 모양새라 이런 이름이 붙었지! 수식이 무척 간단한데도 정확도가 매우 높아 세이버메트릭스에서는 무척 중요한 지표야. 영화에서 피터 브랜드가 오클랜드의 승리를 위해 필요한 득점을 계산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때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가능할지 여러 관점에서 따져 봤습니다. ‘이효영의 블루 이산화타이타늄’, 멋진 이름의 정체는? (122p)☞바로가기이산화타이타늄(TiO2)이라는 화학물질이 있습니다. 이 물질은 빛을 받으면 촉매가 돼 화학반응을 돕습니다. 이런 촉매를 광촉매라고 부릅니다. 광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를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