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달
발전
성장
향상
전개
발육
화재진압
d라이브러리
"
진화
"(으)로 총 3,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볼라 쇼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Epidemic)을 넘어 이제 대유행병(Pandemic)으로 발전할 기세다. 이전과 전혀 다른 양상으로
진화
하고 있는 에볼라는 과연 우리나라까지 올 것인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볼라 쇼크INTRO. 에볼라의 모든 것PART1.전염의 시작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PART3. 인간에겐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있다. 이융남 박사도 “북미 공룡 대부분이 아시아 대륙에 기원을 두고 있다”며 “
진화
과정을 연구하기에 고비사막은 최적의 발굴지”라고 말했다. 베이스캠프에서의 아침. 각자 발굴 도구를 챙겨 들고 삼삼오오 모여들었다.주변 반경 수십km 안에 인공물이라고는 우리의 캠프뿐이었다. 군대 ... ...
PART1.전염의 시작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자신의 유전자를 더 많이 퍼뜨릴 수 있게
진화
한 셈이다.에볼라는 어떻게 지금처럼
진화
한 걸까. 돌연변이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높다. 독일 베른하르트 노치 병원의 스테판 군터 박사팀은 서아프리카 에볼라 바이러스의 DNA 서열이 자이르 바이러스와 가장 유사하며 그 차이는 약 3%라고 ‘뉴잉글랜드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잠복기가 극적으로 변화한 경우는 한 번도 없다.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사실 바이러스의
진화
와 잠복기에 대한 연구는 제대로 이뤄진 적이 없다. HIV는 인간 세상에 처음 등장할 때부터 잠복기가 지금처럼 길었다. 돌연변이를 일으켜 갑자기 길어진 게 아니다. 다만 우리가 확실히 아는 건, ... ...
[knowledge] 아름다운 과학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위 반원은 해당 동물의 전체 유전체(게놈)다. 선은 비슷한 유전자끼리의 연결선이다.
진화
적으로 가까운 대상과 보다 많은 염색체를 공유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아래는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생물학자 에르네스트 해켈의 생명의 나무. 다윈의 영향을 받았다 ... ...
‘생각하는 방법’ 가르치는 리버럴 아츠 과학 교육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대하고 있다”고 말한다.
진화
생물학 수업에 참가한 최용석 학생은 “이번 수업을 통해
진화
라는 것이 단순히 생물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만이 아님을 알게 됐다”며 “인도네시아의 발리와 롬복 섬 사이에 월리스 라인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과, 월리스 라인이 인간의 활동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캄브리아기 폭발을 일으켰다면 어땠을까. 생물체와 생태계는 지금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화
하지 않았을까. 말이 없는 삼엽충 화석을 들여다 보며 다시 한번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 ... ...
❺ 수리생물학 - 수학과 생물학 아무도 예상 못한 커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조건이다. 따라서 ‘하디-바인베르크 법칙’이 지켜지지 않았다면 우리는 그 개체의
진화
가 진짜 일어났다고 볼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 과학과 ‘썸’탄 수학 6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❷ 일반상대성이론 - 절친 ... ...
공원의 물고기, 사람만 보면 몰려드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기억력이 안 좋은 사람을 금붕어라고 놀리는 경우가 있다. 금붕어가 3초 동안만 기억할 수 있다는 편견 때문이다. 그런데 물고기의 기억력이 생각보다 좋다는 ... 유리하다”며 “식량이 부족한 상황을 겪으면서 안전하게 먹이를 구할 수 있는 장소를 기억하게
진화
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세계수(?)학자대회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포함됐다. 이렇듯이 세계 수학계는 학문과 과학 기술의 조류를 계속 반영하면서
진화
해왔다. 정량적이고 구조적인 세계관이 문화 속에 정착되면서 언젠가는 ‘세계수학자대회’가 ‘세계학자대회’와 구별되지 않는 날이 오지 않을까 상상해 보기도 한다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