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간
연대
시기
당시
당대
세상
부분
스페셜
"
시대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뜻’이 자녀가 하나뿐인 가정이 대부분이고 먹을 게 너무 많아서 문제인 이 풍요로운
시대
에도 여전히 떠받들어진다는 건 비정상적인 현상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것으로 추측했다. 한편 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문제가 많다고 한다. 빅데이터
시대
임에도 여전히 생물학 연구자들 다수가 수학과 통계학에 무지하다보니 초보적인 실수를 범하고 이런 논문들을 검토하는 사람들도 생물학자이다 보니 오류를 알지 못하고 넘어간다는 것이다. 열 마리도 안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동성애에 반대한다? 성적지향에 대한 진실과 오해
2017.04.26
정신질환 간의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는다. 이성애와 동성애 모두 여러 문화권과
시대
를 걸쳐 나타나는 인간의 정상적인 성적 행위다. 수십년간의 연구들 끝에 모든 공식 의학, 정신건강 기관들은 이들 성정체성이 정상적인 인간의 행위라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따라서 병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수 있다는 말이다. 프루스트가 15세기 그림에서 본 인물과 그가 같은 유형으로 지목한 동
시대
의 신사도 그런 관계가 아닐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척추동물고고학고인류학연구소(IVPP)의 고고학자 리장양 박사는 10만여 년 전 구석기
시대
의 도구들을 발굴하고 있었다. 짐을 싸고 철수할 무렵 석영으로 된 아름다운 석기(石器)를 발굴하자 일정을 이틀 늘렸다. 그리고 마지막 날 아침 아쉬운 마음에 발굴지를 둘러보다 인류의 두개골 조각을 하나 ... ...
난민과 이주민이 정말 ‘내 나라’에만 많이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세계 인구는 50억에 도달하기 전이다. 인구 70억
시대
의 난민 2100만 명과 50억이 안되는
시대
의 2000만 명을 비교하면 단연 후자가 난민이 더 많이 발생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주민과 난민을 수용하는 나라의 국민은 근거없는 불안감을 갖는다. 영국 버밍험대 사회과학자 낸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테리아도 튜링테스트 받았다
2017.02.14
커녕 시간이 얼마 지나면 깨져 사라질 운명이다. 그렇다면 왜 합성생물을 만드는
시대
에 인공세포를 연구할까. 물론 합성생물의 성과는 대단하지만 그럼에도 근본적인 문제는 여전하다. 먼저 통째로 합성한 게놈 스스로가 살아갈 능력이 없다는 것이다. 즉 게놈을 뺀 박테리아 안에 합성게놈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 1kg도 안 되는 그램의 등장으로 이제 무게단위가 바뀌어야 가벼운 노트북으로 쳐주는
시대
가 됐다. 엘지는 2015년 14인치 그램을 선보였고 작년에는 15.6인치 그램을 출시해 놀라움을 줬다. 작년 들어 배터리 효율이 급격이 떨어져 카페에서 작업하다 곤란한 일을 몇 번 겪었다. 이제 노트북을 바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
2017.01.04
밝혀졌다. 이번엔 거꾸로 초파리에서 해당 유전자를 찾았고 물론 발견했다. 21세기 게놈
시대
를 맞아 생체시계 유전자 연구도 급진전했고 이제 생체시계가 어떻게 돌아가는지에 대한 대략적인 그림이 완성됐다. 즉 Per단백질이 Cry단백질과 짝을 이룬 한 편과 Clock단백질과 Bmal1단백질이 짝을 이룬 한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그 결과 세포 내에서 여러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시대
가 열렸다. 단백질 각각에 다른 색을 내는 형광단백질을 연결하면 되었다. 이 업적으로 첸은 시모무라, 찰피와 함께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최근 첸은 신경세포에 형광을 입혀 수술 중에 실수로 신경이 손상되지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