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문대학"(으)로 총 1,239건 검색되었습니다.
- 5개 과기특성화대학 함께 기술사업화 퍼스트무버로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2013.05.16
- 과기특성화대학 MOU 체결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5개 과기특성화대학(KAIST 총장 강성모, GIST 총장 김영준, DGIST 총장 신성철, UNIST 총장 조무제, POSTECH 총장 김용민)은 5.15일 ‘과기특성화대학 기술사업화 선도모델 구축 방안; Five STAR (Science and Technology After R&D) Initiative’를 발표하고, 선도모 ... ...
- ETRI, 발명의 날에 '대통령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13.05.15
- 발명의 날에 '대통령상' 수상한 ETRI 전경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정부출연연구원인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가 제48회 발명의 날 기념식에서 ‘미국특허 종합평가 2년연속 세계 1위’ 등의 위업을 높이 평가받아 ‘대통령상’을 15일 수상한다. ETRI는 그동안 지식재산 창출 실 ... ...
- “2013 큐브위성의 꿈, 우리팀이 설계한다”동아사이언스 l2013.05.13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김승조)은「2013 큐브위성 경연대회」출정식과 함께 참가희망자들을 위한 1차 교육을 5월 14일(화) 오전 9시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최할 계획이다. 이번 출정식에서는 20여개 대학, 100여명의 대학(원)생 및 지도교수들이 참여하며, ... ...
- [채널A] 첨단 과학으로 범죄 추적…‘한국형 CSI’ 뜬다채널A l2013.05.10
- [앵커멘트] 미국의 인기 범죄 수사 드라마 CSI, 우리 나라에도 팬이 참 많은데요. 여기에 등장하는 다양한 첨단 수사 장비와 기술이 우리 경찰에도 속속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현경 과학 전문 기잡니다. [리포트] 비 오는 밤, 차량이 빠른 속도로 도로 위를 달립니다. 가로등이 없어 블랙박스에 찍힌 ... ...
- 빅데이터 분석․활용 센터 구축동아사이언스 l2013.05.10
- 미래창조과학부는 공공·민간에서의 빅데이터 서비스 도입을 지원할 빅데이터 분석․활용 센터를 구축한다. 최근 빅데이터는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신규 성장 유망분야로 주목받고 있으나 국내의 경우 글로벌 기업에 비하여 기술격차가 존재하고(2∼5년), 공공·민간에서는 아이디어 및 데이터는 ... ...
- 불확실성 2.KOITA l2013.05.09
- 기법의 진화 현대인들은 믿기 어렵지만 ‘과학기술은 진보하는 것이다’라는 선전문구를 일반인들이 접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이후의 일이다. 선전활동은 처음에는 ‘공상과학소설’의 모습으로, 다음에는 ‘과학소설’의 형태로, 그다음에는 ‘미래학’의 이름으로, 그리고 마침내는 ‘기술예 ... ...
- 불확실성 1.KOITA l2013.05.09
- 예측의 혼란이 가져오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어두운 미래’ 보다 ‘불확실한 미래’에 있다. 요즘과 같이 국내외적으로 경영환경의 불안 요인들이 넘쳐나는 이때, 많은 기업이 미래를 알 수 없다는 불안감으로 출발해 미래에 대비할 수 없다는 무기력감마저 사로잡히기 마련이다. 따라서 이번 호 ... ...
- 신기술 창업의 사회경제적 의미KOITA l2013.05.09
- 1990년대 초 미국의 경제회복에 실리콘밸리를 중심으로 한 신기술 중심의 벤처기업들의 급성장이 훌륭한 견인차의 역할을 했던 것을 볼 때, 우리나라에서도 신기술 벤처산업의 내실 있는 성장이 경제 재도약의 실질적인 역할을 하게 되리라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신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 ...
-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세울 것과학기술인공제회 l2013.05.03
- 지난 2013년 2월 15일, 대구 달성군에서 18명이 꽃다발과 축하를 받았다. 2003년 제정된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법에 의거하여 오랜 시간 준비를 갖추어 온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이하 DGIST)이 첫 졸업생을 배출한 것이다. 이번 졸업생 배출은 여러 모로 중요한 의미가 있다. 10년에 이른 대장정이 낸 첫 결 ... ...
- 해수온도차발전에 도전하다KIMST l2013.05.03
- 해수온도차에너지 가용량은 관점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1.1조kW에 달하며, 이는 세계 전체에너지 수요의 약 100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고밀도 해양온도차에너지는 남북위 20도 이내의 적도 및 아열대 해역에 풍부하게 부존하고 있으며, 해양심층수가 있는 곳에서는 다양한 미활용열원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