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마
제목
화제
과제
테에마
이야깃거리
논제
스페셜
"
주제
"(으)로 총 1,298건 검색되었습니다.
영광의 햇살과 바람으로 빚은 ‘국민 명품’ 법성포 굴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원전 이야기를 꺼내자 그다지 반기는 기색은 아니다. 여전히 지역 사회에서 민감한
주제
였던 모양이다. “국가적으로 필요한 일이라면 해야겠죠. 여기 계속 살다보니 동물이든 사람이든 이상이 있는 것도 아니고. 다만 수온이 문제인 것 같아요. 참조기들이 더 이상 잘 다니지 않아. 요즘은 멀리서 ... ...
설국열차는 원자력으로 움직인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5
말은 봉준호 감독이 2013년 10월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설국열차로 보는 인류의 미래’란
주제
의 과학콘서트에서 직접 밝힌 내용이다. 1년에 43만 8천 킬로미터씩 17년을 쉬지 않고 달리는 설국열차 엔진의 비밀은 결국 핵에너지였다. 인터뷰 중인 봉준호 감독 봉준호 감독은 또 다른 인터뷰에서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화학의 어두운 면을 다루고 있다. 흥미롭게도 해설과 ‘Banned’에 대한 서평이 공통의
주제
를 다루고 있다. 즉 문제를 일으키는 화학물질을 대체하는 과정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서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을 뿐 아니라 심지어 더 악화되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 그럼에도 대다수 사람들은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점을 지적했고, 좌장을 맡은 황용석 서울대 에너지시스템공학부 교수는 이에 동의하며
주제
설정만 제대로 된다면 시나리오 씽킹이 사회적 신뢰를 확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시나리오 씽킹이 만능은 아니며 한계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아야 한다는 의견도 ... ...
첫 걸음을 뗀 방사선 안전 파수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8
월계동 폐아스콘 사건을 예로 들어 방사선카운슬러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권 교수의
주제
발언이 전반적인 현황과 원칙에 대한 총론의 성격이었다면 토론에서 제시된 패널들의 의견은 각 업무 영역에서 방사선카운슬러의 필요성과 활용방안을 찾아보는 각론 성격이었다. 김미숙 센터장은 ... ...
나눔연수 [제14회]
동아사이언스
l
2015.04.08
널리 공유하기 위해 만든 사회 공헌 성격의 연수 프로그램이다. 매달 1회씩 다양한
주제
로 나눔연수가 열리고 있다. 참가를 원하는 교사는 ‘과학동아 교사아카데미 나눔연수 페이지’(scimall.co.kr/tacademy)에서 신청하면 된다. ... ...
나눔연수 [제13회]
동아사이언스
l
2015.04.08
널리 공유하기 위해 만든 사회 공헌 성격의 연수 프로그램이다. 매달 1회씩 다양한
주제
로 나눔연수가 열리고 있다. 참가를 원하는 교사는 ‘과학동아 교사아카데미 나눔연수 페이지’(scimall.co.kr/tacademy)에서 신청하면 된다.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Flavour(풍미)’를 창간했다. 이번 달에도 스펜스 교수의 ‘귀로 먹기’ 등 흥미로운
주제
를 다룬 논문이 올라와있다. 이런 움직임이 삭막하기만 한 과학에 풍미를 더하는 것 같아 더 반갑게 느껴진다. ... ...
막스 플랑크 연구소 출신 3인방, 식물에서 새로운 꿈 키운다
IBS
l
2015.03.30
뭉쳤다. 이렇게 만들어진 팀은 식물을 연구한다는 큰 뼈대는 같지만, 전공부터 연구
주제
, 수행 방식까지 각기 다른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탄생했다. “사실 독일에 있을 때도 두 분은 잘 알지 못했습니다. 김상태 박사는 한 번도 대면할 기회가 없었고, 김혜란 박사도 근무하던 연구소에 다른 ... ...
귀신의 과학
KISTI
l
2015.02.24
줄어든다는 것. 이는 많은 논란과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영화는 물론 많은 이야기의
주제
가 되기도 했던 연구다. 맥두걸 박사의 주장에 반박하는 사람들은 그 질량의 차이가 체내에 있던 수분이나 공기들이 빠져나가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 설명했지만, 그는 수분과 공기를 모두 계산해도 21g의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