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독자"(으)로 총 2,8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만들기상상노하우실에서는 금색 테이프와 동그란 전지, 그리고 조그만 멜로디 회로가 독자 기자단을 기다리고 있었다. 전자회로 만들기를 담당하는 박영희 디자이너가 설명을 시작했다.“앞에 보이는 금색 테이프에는 전기가 흘러요. 전선이라 같다고 생각하면 되요. 테이프를 이용해 자신만의 ... ...
- [참여] 수학동아 게임카페 수학적 사고는 게임의 기초!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수업을 맡은 오규환 아주대 미디어학과 교수는 화면에 테트리스 게임을 보여 주면서 독자들에게 질문을 던지는 것으로 게임카페의 문을 열었다. 질문마다 번쩍번쩍 손이 올라오며 사방에서 답이 쏟아졌다.“그럼 테트리스를 만든 사람이 누구죠?”“알렉세이 파지노프요!”“이 사람은 원래 무슨 ... ...
-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1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수학을 만들어 가기 시작했다. 유럽과는 철저하게 차단된 상태에서 일본 지식인들은 독자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기하 문제를 만들고, 이 문제를 풀면서 지적인 만족감과 논리적 사고력의 한계를 시험했다.지식인의 이 오락은 곧 바로 일반 대중 사이로 퍼져나갔다. 사람들은 이를 나무 액자에 새겨 ... ...
- [참여] 현대 모터스튜디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자동차를 원한다. 게다가 예전처럼 매연을 내뿜는 자동차는 이제 설자리가 없다. 독자기자단은 이번 탐방에서 이런 변화의 모습을 목격할 수 있었다.자동차마다 20가지가 넘는 색상을 고를 수 있고 바퀴나 의자도 자신의 취향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코너가 스튜디오 곳곳에 마련돼 있었다. ‘제로 투 ...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과학동아 l2015년 02호
- 1955년 4월, 저명한 과학사학자 I. 버나드 코엔이 아인슈타인을 찾아가 인터뷰를 했다. 그로부터 2주 뒤 아인슈타인이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그 인 ... 또 일반상대성이론이 사상사와 과학문화에 기여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려 한다. 독자들이여, 기대하시길!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 [과학뉴스] 아마존 지키는 구글맵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환경단체 ‘아이마존’은 브라질 정부의 자료를 믿을 수 없다며, 인공위성을 이용해 독자적으로 아마존 벌목 지도를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구글이 이들을 돕고 나섰다. 현재 이들은 아마존의 숲이 얼마나 사라지고 있는지를 구글맵을 이용한 환경 지도로 만들어 발표하고 있다. 그런데 앞으로는 이 ... ...
- [Hot Issue] DRC휴보II 올해 6월 DRC 우승 노린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똘망을 구매해 사용할 예정이다. 한국계 미국인 교수인 데니스홍 UCLA 교수팀도 미국에서 독자적으로 출전을 준비하고 있다. 휴보 아버지인 오준호 KAIST 교수는 “지난해는 컨소시엄 형태로 두 팀을 구성하고 나란히 참가를 준비하다 보니 팀원간 손발이 맞지 않았고. 핵심 역량이 분산되는 결과만 ... ...
- [Life & Tech] 제1회 SW 마에스트로 골든벨 “나도 스티브 잡스에 도전할래요”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박진우(대전 대덕중2)군의 말에 모두가 웃음을 터뜨리고 골든벨이 시작됐다. 독자 여러분도 직접 골든벨 문제를 한번 풀어보자. 만만치 않다.맞추신 분이 별로 없을 거다. 기자도 틀렸다. 참가자들은 얼마나 떨어졌을까? 30명이 넘는 학생 중 2명도 안 떨어졌다. 이런 뛰어난 실력 때문에 43번까지 ... ...
- [Life & Tech] 찜질방 계란은 왜 갈색일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계란은 갈색이 된다소녀는 소년이 멋져 보였을까요, 아니면 그저 피곤했을까요? 그건 독자 여러분의 판단에 맡기겠습니다. 이제 캐릭터 파악하셨잖아요? 소녀가 말합니다. “계란이나 사 묵자.”‘톡톡’ 쫄깃해 보이는 갈색 살이 드러납니다. 찜질방 데이트의 별미, 맥반석 계란입니다. 소년이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연구 분야가 됩니다. 뜨개질 자체가 연구 주제가 되는 거죠.Q 수학 뜨개질을 하려는 독자들에게 한마디 해 주세요.A 뜨개질은 일종의 수학 실험이라고 생각할 수 있어요. 추상적인 개념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만들려면, 나타내고자 하는 추상적 개념의 핵심을 잘 파악하는 게 중요합니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