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322건 검색되었습니다.
21세기를 체험하며 배운다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올라서면 환상적인 우주여행이 시작된다. 승강기에서는 3백60도 트인 유리창을 통해
은하
등 우주와 관련된 그림들이 탑 하단부에서부터 전망대까지 연속적으로 펼쳐진다. 특히 이 그림들은 자외선에서만 발광하는 무기형광도료가 발라져 있어 보통의 그림을 보는 것과는 매우 다른 분위기를 느낄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무엇보다도 우주의 대부분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우리 눈에 밝게 보이는
은하
들은 이 우주에 있어야 하는 질량의 10%가 채 되지 않는다. 따라서 거의 소경이나 진배없는 인간들이 우주를 바라보며 우주론을 전개하고 있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 이처럼 보이지 않는 대부분의 ... ...
과학동아가 선정한 '92 국내외 과학기술계 10대뉴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깨졌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지만(그 정도의 온도 차이가 오늘날의
은하
나 별의 생성을 가능하게 할 정도냐는 것은 별도의 문제), 92년 4월의 대발견은 우주론에 또 하나의 노벨상을 가져다 줄 것으로 예상된다.4. NASA, 17년만에 화성탐사 재개인류는 달에 이어 화성이나 금성으로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실험 모두 실패했기에 일부 학자들은 처음의 기쁨을 가라 앉히고 이런 암흑물질이나
은하
의 형성 문제를 전혀 다른 각도에서 해결하려 연구하고 있다. 이런 최근 상황을 잘 빗대어 주는 미국 페르미 연구소의 천체 물리학자 마이클 터너(M. Turner)의 표현을 빌려보자."살인현장, 시체 바로 옆에서 ... ...
Out Of The Sun 태양으로부터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우주학은 갑자기 활기를 띄게 될 것이리라! 아주 많고 많은 중성미자들이 우리 우주 모든
은하
계속의 엄청난 수에 달하는 별들에서 쏟아져나오기 때문이다.한편 그러한 중성미자들이 완벽하게 무질량이라면 우린 우주에 관한 매우 원론적인 질문에 대해 답을 찾아야만 한다. "우주는 언제 끝날까?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단 세 개의 초신성 중 하나다(1987년 1987A로 명명된 초신성은 우리의 위성
은하
인 마젤란
은하
에서 발견된 것이다). 일생을 별 관측에만 전념했던 그는 그외에도 많은 관측자료들을 남겼는데 이것은 훗날 그의 제자에 의해 우주와 태양계의 모습을 밝히는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깊어 가는 가을 밤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동네 꼬마들에게 거문고자리의 직녀별을, 페르세우스자리 이중 성단을, 안드로메다
은하
를 설명하다보면 자신들이 '과학대중화'의 기수가 된듯한 착각을 일으키기도 한다. 교과서에 파묻혀 지루하게만 보냈던 지구과학 시간의 경험이 되살아나 하나라도 열심히 설명하려고 애쓴다.폴라리스의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않는다.신성/갑자기 1백만배 이상 밝아져쌍성은 흔하게 관측되고 있다. 실제로 우리
은하
를 이루는 별 중 약 반 정도가 쌍성을 이루고 있고 그 중에는 세개 이상의 별이 서로 뒤엉켜 있는 것도 많다. 쌍성의 두 별은 동시에 태어났다고 하더라도 수명은 같을 수가 없다. 별들은 한마디로 '짧고 굵게 ... ...
우리
은하
는 얼음덩어리에서 출발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견딜 수 있었다"고 했다.이 거대한
은하
헤일로는 우주배경복사에도 영향을 미친다. 먼저
은하
들에 있는 그 얼음 덩어리들은 시선방향으로 멀리 떨어진 물체에 대해 빛을 차단시킨다. 이로부터 왜 적색편이가 5 이상인 퀘이사를 볼 수 없는가를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둘째로 수소 덩어리는 ... ...
인플레이션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통해) 발생된 물질의 미세한 섭동이 지난 1백~2백억년간 어떻게 현재의
은하
, 또는 대
은하
군으로 진화되었는가에 대한 연구활동이다.이에 버금가는 또다른 연구 줄기는 망원경을 통해 관측된 물질(빛을 발하는 물질) 또는 빛을 발하지 않는 암흑물질(dark matter)들의 공간적 분포가 얼마만큼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