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나노 세계에 0차원이 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김일두 카이스트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메모지에 동그라미 하나를 그리며 물었다. “이건 (나노) 입자인가요?” 기자가 대답했다. “네 입자처럼 보입니다.” 그러자 김 교수는 포켓몬스터의 메타몽처럼 생긴 도형을 그리며 다시 물었다. “그럼 이건 입자인가요?” 살면서 이런 점은 본 적이 없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강도와 탄성 두 마리 토끼 잡은 초탄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1호
- ‘탄성(elasticity)’이란 외부에서 물체에 힘을 가했을 때 원래의 원자 및 분자구조가 변화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원자 및 분자구조로 되돌아가는 특성이다. 이런 탄성을 가진 대표적인 물질이 고무다. 하지만 같은 고무라도 고무줄과 타이어, 운동화 밑창과 라텍스 장갑은 물성 차이가 크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매년 연말연시면 미래 동향과 트렌드를 전망하는 책들이 서점가를 가득 채웁니다. 미래의 변화를 앞서 예측하고 대비하려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뜻이겠죠. 과학동아는 올해도 5년 뒤 연구 동향을 엿보는 야심찬 시도를 이어갑니다. 이번 달에는 전 세계 논문을 모아놓은 네덜란드 라이덴대 데 ... ...
-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롯데월드타워(555m)에 맞먹는 높이 500m의 초고층빌딩을 서울에서 강릉 간 직선거리(169km)인 170km 너비로 짓는다는 게, 네옴시티의 주거단지 더 라인의 계획입니다. 환경 파괴를 막기 위해 최소 면적에 최대의 사람이 살 수 있는 초고층빌딩 도시를 건설하겠다는 의도지요. 과연 가능할까요? 초고층빌 ... ...
- [과학 뉴스] 블랙홀로 파괴된 별, 빛나는 제트로 탈바꿈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지난 11월 30일 유럽남방천문대와 호주 스윈번기술대학교 등이 참여한 국제연구팀은 약 85억 광년 떨어진 곳에서 매우 밝게 빛나는 물질 제트를 발견해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어요. 이 현상에 대해 연구팀은 별이 파괴되면서 블랙홀에서 빛의 속도에 가까운 빠르기로 물질이 뿜어져 나오는 것이라 ... ...
- [4컷 만화] 필름 붙이자 한겨울에도 식물이 쑥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빛을 에너지로 변환합니다. 하지만 햇빛에는 광합성에 쓰이지 않는 자외선 같은 짧은 파장도 포함되어 있어요. 일본 홋카이도대학교 화학반응설계및발견연구소 연구팀은 자외선 파장을 광합성에 쓰이는 빨간빛으로 늘릴 수 있는 파장 변환 물질(WCM)을 사용하면, 식물 성장에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새로운 별의 탄생2023년 새해가 밝았어요! 우주에도 새롭게 출발하는 천체가 있습니다. 별의 일생은 너무나 길어서 우리가 볼 때는 항상 같은 모습을 하고 있는 것 같지만, 별도 새로 태어나고 사라지기도 한답니다. 별은 먼지 구름 속에서 탄생하기 때문에 가시광선으로는 그 모습이 잘 안 보여요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2023년 새해에도 놓칠 수 없는 과학 영상 읽어줌! 나 마이보는 이번에 일상 생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바코드와 QR 코드 속 과학부터, 탄산음료를 100만 번 흔들어보는 실험 영상까지 아주 알차게 준비했어. 반려견을 키우는 친구들이라면 알아두기 좋은 공원 산책 팁도 있으니 같이 확인해 보자고! ● ... ...
- [특집] 수학계가 주목한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1호
- 2022년 10월 20일 기사 보도 시작은 2022년 10월 중국의 한 기사였다. ‘중국계 미국인 수학자 이탕 장이 리만 가설을 해결할 돌파구를 찾았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리만 가설은 수많은 천재 수학자들이 도전했지만, 150년 동안 풀리지 않아 100만 달러(약 13억 원) 상금이 걸린 난제다. ... ...
- [DATA MATH] 소행성의 궤도를 바꾼 치밀한 계산수학동아 l2023년 01호
- DART 팀의 일원인 웬디 칼드웰 미국 로스앨러모스국립연구소 연구원은 대학원에서 응용수학을 전공하면서 소행성 연구를 시작했다고 해요. 그때 연구했던 소행성은 ‘16 프시케(16 Psyche)’로, 알려진 소행성 중 17번째로 크고 10번째로 무거운 소행성이지요. 당시 NASA에서 16 프시케를 수학적으로 모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