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적용"(으)로 총 4,257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유통기한, 넘겨도 괜찮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유통기한이 지났으면 무조건 버리라는 뜻은 아닙니다. 유통기한(Sell by date)은 안전계수를 적용해 실제 먹을 수 있는 소비기한(Use by date)보다 짧게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2년에 소비기한 표시를 시범적으로 시행한 적이 있는데 과자류, 면류, 즉석조리식품 등의 소비기한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칵세타-헥크비스트의 추측수학동아 l2017년 07호
- 회로가 있다는 것을 밝혔습니다.연구팀은 깃발 대수라는 새로운 도구를 문제 풀이에 적용해 컴퓨터 계산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지요. 머지않아 절대 컴퓨터를 사용하지 않을 것 같은 순수 수학 문제도 컴퓨터를 적재적소에 잘 사용해 해결할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엄상일 교수는 KAIST 수학과를 ... ...
- 인터뷰. 육군사관학교 수학과 교수 박석봉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다른 사관학교에서 배우는 내용도 같나요?기본적으로는 같습니다. 다만 장소가 다르니 적용하는 방법이 다를 뿐이지요. 군사 물품을 보급해야 하는 상황을 예를 들어볼게요. 물품을 안전하게, 그리고 빠르고 정확하게 조달해야 한다는 목표는 같습니다. 그러나 육군은 땅에서 차를 이용해 움직일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전달에 의한 형질 변화량을 나타내는 두 번째 항이 프라이스 방정식을 집단 선택에 적용하는 열쇠다. 지금껏 우리는 개체들과 각 개체에 속한 정자/난자들에 초점을 맞췄다. 눈을 게슴츠레 뜨고서 높낮이 조절 손잡이를 한 단계 더 올려보자. 집단들과 각 집단에 속한 개체들이 보이는가. 원래의 ... ...
- [Career] 암 검사체계 바꿀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김재영 뉴바이올로지전공 연구교수 등 10여 명의 연구진과 함께 암 진단과 치료에 적용할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다중 모달 융합내시경에는 조직의 생체정보를 파악하는 ‘현미경 기반 대기압 질량분석법’과, 3차원 이미지를 찍는 ‘광 결맞음 단층촬영법’, 2차원의 분포를 ... ...
- [Future] 조산아의 희망, 인공자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지난 2004년에 비해 의학은 물론 관련 장치와 소재가 발달해 인공자궁을 사람에게 적용할 가능성은 더욱 높아졌고, 10년 내에 실제로 조산아를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인공자궁, 임신을 대체할 수 있을까4월 10일 ‘네이처 셀바이올로지’는 영국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이 인공자궁 내막을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발명했다. 손목시계의 시계판에 ‘Quartz’라고 써있는 시계가 바로 석영 진동자 기술을 적용한 시계다.석영 진동자 시계가 개발되기 전까지는 스위스 장인들의 솜씨로 만든 정교한 기계식 태엽 시계가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었다. 하지만 1969년 석영 진동자 기술의 특허를 사들인 일본 기업 ... ...
- [과학뉴스] 혈당과 안압, 콘택트렌즈로 한 번에 본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없이 작동한다. 연구팀이 살아 있는 토끼의 눈에 이 렌즈를 적용해서 실험한 결과, 렌즈가 변형되거나 눈물 속에 이물질이 들어 있어도 혈당과 안압을 제대로 측정했다. 박 교수는 “배터리가 필요 없는 무선 스마트 콘택트렌즈 센서를 실현시킬 방법을 제시한 것”이라고 ... ...
- [과학뉴스] 다른 로봇 보고 배우는 로봇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샤 교수는 “사람을 가르칠 때처럼 기본적인 정보를 주고 시연하는 방식을 로봇에도 적용할 수 있으면 굉장히 효율적일 것”이라며, “로봇이 여러 단계의 작업을 하도록 가르칠 수 있게 만드는 흥미로운 연구”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5월 29일부터 6월 3일까지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역할을 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그러나 이 규칙은 쥐와 박쥐 같은 작은 동물에는 적용되지 않았습니다. 요도가 너무 가늘어 중력이 오줌의 흐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신, 표면장력에 의해 마지막 오줌방울까지 요도 밖으로 빠져 나왔습니다. 연구팀은 이 성과로 2015년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