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전기 대신 ‘공기’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터빈을 돌려 다시 발전하는 방식이다.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은 바람이 불지 않거나 해가
지면
전력을 생산하지 못한다. 하지만 CAES를 사용하면 풍력과 태양열로 생산된 전기는 모두 공기를 압축해 지하의 저장고에 넣는 데 사용하고, 전기를 꺼내 쓸 때는 저장고에서 일정하게 공기를 꺼내 발전기를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관절염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염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활성이 활발해
지면
연골조직이 빠르게 없어진다는것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결과들은 단편적인 현상일 뿐이었다. 왜 이 단백질들이 활성화되는지 그 원인을 규명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광주과학기술원 관절염제어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하던 환자의 사망률이 2%까지 떨어졌다. 당시 사람들은 질병의 원인이 무엇이며, 깨끗해
지면
왜 사망자가 줄어드는지 알지 못했다. 하지만 나이팅게일이 제시한 통계는 깨끗한 위생이 사람을 살린다는 증거가 돼 수많은 사람들을 설득했다.[승선을 기다리는 영국군 부상병들. 윌리엄 심슨이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이다. 다시 생물 네트워크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일반적인 네트워크는 규모가 커
지면
링크 거리가 늘어난다. 예를 들어 인구가 5000만 명인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5단계를 거치면 대부분 서로 연결된다. 하지만 60억 인구의 지구 전체로 규모를 바꾸면 연결 거리는 평균 6단계로 늘어난다. 현재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감상자는 작품을 더 이상 특별하게 보지 않는다. 만일 고유성으로 인한 특별함이 사라
지면
예술도 사라지는 걸까.벤야민은 생활 속에서 이뤄지는 ‘산만한 감상’이 현대 대중예술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건축은 이런 산만한 예술의 대표격이다. 실용적으로 쓰이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건물은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재가 권운을 형성한다는 증거가 있다.7 파란 하늘이 사라진다대기 중에 부유물질이 많아
지면
가시광선의 산란이 심해져 하늘에 계속 구름이 떠 있는 것처럼 하얗게 보인다. 그렇게 되면 빨간 일몰을 볼 수 있어 예쁘겠지만 푸른 하늘이 사라져 인간에게 심리학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8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그에게 시간은 해가 뜬 뒤와 진 뒤 정도의 애매한 기준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해가
지면
급격히 쇠약해진다. 덩치가 크고 몸이 무거워 움직이는 것 자체를 싫어한다.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시계가 없으니 정확한 시간이고 뭐고 눈앞이 캄캄하다.1시간 뒤에 모이라고 한 것부터가 실수였다는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보인다. 즉, 자기장의 변화로 스핀의 자성 정렬의 형태가 변할 때 구조가 불안정해
지면
서 특정 이온이 약간 이동하는데, 그 결과 물질의 전기 분극이 바뀐다. 이 결과가 발표된 이후 산업이나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다강체를 만드는 연구가 폭발적으로 이뤄지고 있다.전력 소모 낮은 다강체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개발한 종이로봇은 평면 형태로 누워 있다가 전기를 통하면 벌떡 일어나 구부러
지면
서 접힌다. 그들은 종이로봇이 배와 비행기로 접히는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 공개했다.이 종이로봇은 어떻게 접힐까. 종이에 접힘선을 미리 많이 만들어두면 큰 힘을 가하지 않고도 쉽게 접을 수 있다. 이와 ... ...
길고양이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고양이는 38.9℃에 달한다. 사람보다 높은 체온을 유지해야 하는 고양이는 날이 추워
지면
필사적으로 볕이 잘 드는 따뜻한 곳을 찾는다. 누군가 내다버린 담요나 이불로 온기를 유지하거나 바닥이 넓은 스티로폼으로 찬 기운을 막는다.이도저도 구할 수 없는 길고양이는 그저 서로의 몸과 몸을 맞대고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