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수학교육학회장 박만구 교수 "수학교육의 목표는 깊고 넓게 세상을 이해하게 하는 것"수학동아 l2020년 04호
- 삶에는 단순 계산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가 있습니다. 영화관에 가면 보통 작은 크기의 팝콘은 5,000원 정도예요. 큰 팝콘은 작은 팝콘의 2.5배 정도 양이죠. 그럼 큰 팝콘은 얼마여야 할까요? 비율로만 따지면 적어도 1만 원 이상은 돼야 해요. 그런데 실제로는 500원 밖에 차이가 안 나요. 왜 일까요 ...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떼어낸 뒤, 피부세포와 심장근육세포로 분화시켜 약 1mm 크기의 로봇을 만들었어요. 이는 슈퍼컴퓨터가 피부세포와 심장세포를 수백 개의 조합으로 디자인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지 시험해 연구팀이 완성한 것이지요.Q 와, 세포 로봇이라니! 어떤 특징이 있죠 ...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과학동아 l2020년 03호
- 240배로 늘어나는 셈이다. 이렇게 늘어난 유전자는 맨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염색한 뒤 크기별로 분류한다. 이 과정까지 완료하는 데는 약 6시간이 걸린다. 최 연구관은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포함해 인간을 감염시키는 코로나바이러스 7종은 모두 이 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다”며 “다만 양성으로 ... ...
- 우리은하는 몇 개의 왜소은하가 뭉쳐 만들어졌을까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작은 레고 블록들이 쌓여 거대한 작품이 완성되듯, 우리은하의 100분의 1, 1000분의 1 크기에 불과한 작은 왜소은하들이 병합돼 오늘날의 모습으로 진화했습니다. 왜소은하가 초기 은하의 상태를 그대로 엿볼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인 셈입니다. 왜소은하 연구는 갈수록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올해 ...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만6000W의 막대한 전기에너지를 사용한다. 반면 이세돌 9단의 뇌는 주먹 두 개 정도의 크기(심지어 그중 일부만 사용한다)로 시간당 20W의 에너지를 소비했다. 만약 인간의 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인공 뇌를 만든다면 어떨까. 사실 이때 이미 인간 뇌의 동작을 모방할 수 있는 신개념 메모리로 ... ...
- [아이돌수학] 숙소 방 배정은 수학으로 해결! '레드벨벳'수학동아 l2020년 03호
-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모두가 만족하는 공평한 분배는 각 조각이 정확히 같은 크기거나 무게일 때가 아닌 모두가 ‘질투하지 않는 분배’가 이뤄진 상태로 정의한다. 케이크 공평하게 나누기에는 다양한 해법이 있는데, 수는 여러 방법 중 ‘단체’에 관한 ‘슈페르너의 보조정리’를 ... ...
- 잠 안 자면 건강이 나빠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암세포를 주입하고 잠을 방해했어요. 수면이 부족해진 생쥐는 1달 만에 암 종양의 크기가 충분히 잔 쥐보다 2배나 커졌지요. 이런 위험 때문에, 최근 세계보건기구(WHO)는 야간 근무를 ‘유력한 암의 원인’으로 분류했답니다. ▲ PDF에서 고화질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
- 스타워즈 통신수단, 홀로그램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기존 연구들과 달리, 픽셀을 수직 방향으로 쌓는 발상의 전환을 했어요. 이를 통해 픽셀 크기를 줄이고 픽셀 사이의 간격도 0.001mm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지요. 연구에 참여한 최지훈 연구원은 “홀로그램의 가능성은 상상 이상”이라며 “홀로그램 연구가 다른 산업의 발전을 이끌 수 있다”고 ... ...
- 부품의 세계를 탐험하다! 일렉트론 영웅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더 작아졌지요. 컴퓨터를 포함한 각종 전자제품이 성능은 그대로 유지한 채 크기는 훨씬 작아질 수 있었던 이유랍니다. 책 에도 트랜지스터는 비범한 부품으로 등장해요. 다른 부품들은 그를 코딩 행성의 현자 ‘지스님’이라고 부르며, 늘 그를 따르지요. 지스는 레드, 그린, 블루 ... ...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이것이 현재 관측 가능한 우주의 크기이죠. 왜냐하면 우리가 빛을 이용해 우주의 크기를 가늠하는 순간에도 우주는 팽창하고 있고, 그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정확하게 계산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에요. 윤성철 서울대학교 물리·천문학부 교수는 “우주는 계속 팽창하고 있기 때문에 관측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