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크린
비데오
텔레비전
비디오
영사막
모니터
화상
d라이브러리
"
화면
"(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자동화 현장의 두뇌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KAIST 산업공학과의 이태억 교수가 이끄는 시스템 모델링 및 통합 연구실은 반도체나 액정
화면
(LCD)의 생산공장에 사용되는 클러스터 장비와 같은 복합장비를 운용하는 고난도의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듬과 제어로직을 개발하고 있다.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듬이란 실시간으로 장비의 전체 상태를 ... ...
IMT2000 그 환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홍콩지사 설립상황 등이 보고됐고, 신규사업전략 프리젠테이션이 이어졌다. 작은
화면
이 다소 불편하기는 했지만, 선명도가 높아 해독하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30여분 만에 회의가 끝났다.PDA를 끄려는데 깜빡깜빡 경보 신호가 켜진다. 오는 금요일이 결혼기념일이라는 메시지다. 문득 아내가 ... ...
곤충처럼 날개 펄럭이는 초소형 항공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휴대한 고정날개형 초소형 정찰기를 발진시킨다. 소대장은 안경처럼 착용한 디스플레이
화면
에 비춰지는 항공정찰 영상을 통해 적의 위치를 파악하고, 의심나는 지점에 대해 좀더 상세한 정찰을 명령한다.1백-2백m 상공에 비행하는 15cm 크기의 항공기는 지상에서 육안으로 탐지가 사실상 불가능하며, ... ...
피에로 델라 프란체스카 아기예수의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c와 d가 만나는 접점 e를 구한다.이때 e가 소실점이다. e가 그림 안에 들어있지 않고
화면
경계 바깥으로 빠져나가므로, 관찰자는 작품을 정면으로 보지 말고 비스듬히 봐야 원근 구조가 제대로 살아난다.화가가 왜 이런 구도를 취했는지에 대해 해석이 구구하다 ... ...
적외선 투시카메라보다 월등한 뱀의 시력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색맹이어서 색깔을 전혀 구분하지 못한다. 개가 보는 세상은 뿌연 흑백텔레비전의
화면
과 같다. 맹도견의 경우 교차로에 설치된 녹색과 붉은색 신호등을 구별해 앞을 보지 못하는 사람을 안전하게 인도한다. 그러나 이것은 맹도견이 색을 구별하기 때문이 아니고, 신호등의 점등 위치를 혹독하게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유치하다고 말한 사람들이 많았던 것 같아요.의준_ 게임 세계라는 느낌을 주기 위해
화면
을 뿌옇게 만든 것 같은데…. 정제되지 않은 컬러를 쓸 필요는 없잖아요.성환_ 감독은 아비드라는 소프트웨어를 독특하게 활용해서 색다른 효과를 냈다고 합니다. 그러나 그 효과를 적용하지 않은 후반부의 ... ...
조각가 도나텔로의 드루시아나의 부활 기적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해답을 내놓기도 했다.두번째는 투시 평면, 곧
화면
이 반듯한 평면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화면
이 안팎으로 휘거나 굴곡이 있으면 공간 속을 달리는 평행선들이 한점으로 모이지 못하고 제멋대로 춤을 추게 된다. 수학적 원리가 일관되게 적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중앙투시 원근법을 ... ...
서울대 입시 문제를 계기로 본 이공계 대학 심층 구술 면접 새로운 경향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곧 전자가 힘을 받는다는 것과 같다. 바로 이것이 텔레비전에 자석을 가까이 가져가면
화면
이 찌그러지는 이유다. 텔레비전 브라운관 안에는 전자빔을 내는‘전자총’이 있다. 따라서 여기에 자석을 가져가면 전자빔이 힘을 받고 휘게 된다. 이때 자석의 역할은 전자의 흐름 방향을 변화시킬 뿐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더 중요한 부분으로 변해가고 있다. 즉 단순한 입출력 장치의 겉모양이나 모니터
화면
상의 그래픽 디자인에서, 이제는 ‘디지털 인터페이스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개념적 접근방법과 실험이 인간과 작업 환경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개발되고 있다.이러한 변화의 흐름은 컴퓨터 과학자나 기술자에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방출돼 전자총 역할을 할 수 있어요. 그 모양이 전자총이 되기에 딱 좋은 형태예요.
화면
뒤에 있는 수십억개의 나노튜브가 전자총이 된다는 말이죠.”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디스플레이를 설명하면서 그는 시종일관 웃는다. 마치 탄소나노튜브가 그에겐 요술지팡이라도 되는 것 같다. 도체의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