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붙이
쇠
철
강철
금붙이
메탈
금부치
뉴스
"
금속
"(으)로 총 2,29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물 튕겨내는 '초소수성' 유지하며 강성도 높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6
더 두꺼운 돌기가 일종의 ‘갑옷’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실리콘과 세라믹,
금속
, 투명 유리 등에 이 같은 공정방식을 적용했다. 그 결과 높은 초소수성과 강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초소수성과 강성은 상호 배타적인 속성이라 여겨져 왔다”며 “개발한 공정 ... ...
메가시티형 바이오 혁신클러스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20.06.04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의공학연구소장. 서울대
금속
공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금속
공학으로 석박사를 받았다. 영국 옥스퍼드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2000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근무하고 있다.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교수와 KIST 스쿨 대표교수, 과학기술자문회의 ... ...
더 강하면서 가공하기 편한 고엔트로피 합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제공. 국내 연구진이 더 강하면서 잘 늘어나는 합금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주
금속
에 보조 원소를 더하는 게 아닌 여러 원소를 비교적 동등한 비율로 혼합하는 '고엔트로피 합금' 설계 기술이다. 기존 합금보다 강도가 강하면서도 더 다루기 쉬워 산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빛으로 습도 측정하는 수분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26
원하는 데이터만 선별한다. 연구팀은 이 현상을 일으키기 위해 키토산 하드로겔을
금속
사이에 넣는 형태로 제작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주변 습도에 따라 실시간으로 투과되는 빛의 공진 파장이 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키토산 하이드로겔이 주변의 습도 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 ...
고화질 영화 1초에 1100편 내려 받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5
광원 80개가 전달할 정보를 대신 하나의 칩만으로 전송해 속도를 높였다. 마이크로콤은
금속
으로 만든 두 개의 빗을 맞물리게 놓은 형태의 공진기로 빗살이 진동하며 광자를 만들어 레이저 광원처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연구팀은 호주의 국가브로드밴드네트워크(NBN) 통신망에서 이용하는 ... ...
"양자암호통신의 핵심은 '단일 광자'…생성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21
신소재인 ‘전이
금속
칼코젠’이 원료로 쓰이기도 한다. 전이
금속
칼코젠은 반도체와
금속
상태를 오가는 소재로 그래핀과 비슷하다는 게 박 교수의 설명이다. 박 교수는 현재 단일광자 생성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박 교수는 “전기를 이용해 단일광자가 1초마다 나오는 ... ...
꿈의 소재 '그래핀'국내서 첫 대량생산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있다. 하지만 대량생산이 어려워 상용화가 더뎠다. 연구팀은
금속
전극과 흑연 전극,
금속
전극을 차례로 마치 샌드위치처럼 배치해 묶은 뒤 이를 전해질 용액이 담긴 수조에 담가 멀티전극시스템을 완성했다. 이 장치의 흑연 전극에 전기를 흘려보내면 그래핀이 아주 얇은 층으로 벗겨지는데, ... ...
[인간·공감·AI]"코로나19 시대 아픈 환자 모니터링 시각 AI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두 영상은 정확히 동시에 움직였다. 안호연 GIST 연구원이 잠시 뒤 뜨거운 물이 든
금속
컵을 들고 복도의 모니터 앞에 섰다. 왼쪽 영상에 시각 인공지능(AI)이 안 연구원의 얼굴을 인식했다는 의미로 이름이 표시됐다. 안 연구원이 컵을 얼굴 쪽으로 들어올리자 모니터와 연결된 장비에서 요란한 ... ...
전선 끊어져도 셀프 복원…자가 치유기술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20.05.18
통한다. 고전압을 계속해 받다 보니 균열이 일어나면서 누전을 유발할 수 있어서다.
금속
으로 외부를 감싸기 때문에 초음파나 엑스레이 투과가 어려워 속을 들여다보기도 쉽지 않다. 급격한 도시화로 전력 케이블이 지하에 매장되면서 접속함의 수도 급증세다. 한국전력이 지난해 안전점검을 하며 ... ...
성균관대-삼성전자, 마이크로LED 집적도 20배 높일 접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휘어지는 기판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김 교수팀은 고분자 접착제와 나노
금속
입자로 전기가 통하는 접착제를 만든 뒤 얇게 기판을 코팅해 소자 사이 또는 소자와 전극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때 연꽃 표면이 물을 튕기는 특성에서 단서를 얻어, 접착제 표면의 피막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