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인
뉴스
"
한국사람
"(으)로 총 5,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회전하지 않으면서도 회전하는 효과 '스핀' 개념의 탄생
2022.02.17
1954년 팽이가 돌아가는 것을 보고 있는 볼프강 파울리(왼쪽)과 닐스 보어. 위키피디아 제공 양자역학에 좀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소립자들이 '스핀'이라는 물리량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를 들어봤을 것이다. 스핀은 자체의 회전이라는 의미를 갖고 있지만 실제로 입자가 회전하는 것은 아니다. 예 ... ...
미세플라스틱 '자폐스펙트럼' 유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17
섭취 전 폴리에틸렌 미세플라스틱은 구형에 가까웠으나, 실험쥐 뇌 조직 내부 미세플라스틱은 파편으로 검출됐다. 한국원자력의학원 제공 미세 플라스틱이 영유아에 발생하는 난치성 신경발달장애인 자폐스펙트럼을 유발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진수 한국원자력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선임 ... ...
나이 때문인가 갑자기 늘어난 검버섯,알고 보니 암…국내 피부암 5년간 증가세
동아사이언스
l
2022.02.15
한국은 서양에 비해 피부암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다. 하지만 최근 5년간 국내 피부암 환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육안으로 감별하기 어려운 피부암 진단사례들이 있어 조직 검사가 필수적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례 ① `뺨에 생긴 점이 신경 쓰였던 40대 여성 J씨는 동네 의원에서 레 ... ...
양자컴퓨터의 미래, 장밋빛일까 악몽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구글이 지난해 개발한 72개 큐비트로 구성된 양자컴퓨터 칩 브리스틀콘의 모습이다. 구글은 최근 53개 큐비트로 이뤄진 양자컴퓨터 시커모어를 개발해 기존 방식의 최고 컴퓨터보다 월등한 성능을 구현했다는 연구결과를 내놨다.구글 제공 ‘양자 컴퓨터의 미래, 장밋빛일까 악몽인가’ 양자 컴퓨 ... ...
"코로나 시대 대학생들, 벙커 속 안전-낙오 공포 함께 경험"
연합뉴스
l
2022.02.14
심층면접으로 해석현상학적 연구…"진지한 성찰 기회도" 텅 빈 대학캠퍼스. 연합뉴스 제공 코로나19 장기화로 제대로 캠퍼스 생활을 하지 못하는 대학생들이 집이라는 벙커 속 안전함과 사회적 낙오에 대한 공포, 양가감정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 14일 '열린교육연구'에 게재된 'COVID-19 팬데믹 ... ...
로봇 물고기, 스스로 헤엄쳤다...인간의 심장세포로
동아사이언스
l
2022.02.14
인간 유도만능줄기세포에서 분화한 인간 심장 근육세포로 이뤄진 조직을 하이드로겔로 만든 물고기 모양의 양 옆에 부착해 바이오 하이브리드 물고기 로봇을 만들었다. 사이언스 제공.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 과학자들이 사람의 줄기세포에서 얻은 인간 심장 근육세포를 이용해 스스로 움직이고 ... ...
사람 피부처럼 약한 자극엔 적응하고 위험한 자극만 반응하는 전자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02.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첨단소재기술연구본부 강종윤 본부장과 윤정호 선임연구원팀이 사람 피부처럼 약한 자극에 쉽게 적응하고 위험한 자극에는 고통을 느끼는 반도체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KIST 제공 모자나 안경을 쓰면 피부에 약한 자극이 주어진다. 하지만 시간이 어느 정도 흐르면 사람은 ... ...
[올림픽 과학상식] 올림픽 경기에 사용하는 눈과 얼음
동아사이언스
l
2022.02.12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황대헌이 9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털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결승에서 질주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제공 이달 20일까지 진행되는 제24회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전 세계 91개국 약 2800명의 선수들이 지난 4년 간 흘린 구슬땀의 결 ... ...
[인터뷰] IBM·구글 아성에 도전 다이아몬드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22.02.12
한상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장. 하지권 제공 ‘컴퓨터’라는 단어가 무색할 정도로 거대한 기계가 눈에 먼저 띄었다. 모니터 화면 아래 숨겨진 키보드와 마우스를 찾고 나서 제대로 찾아왔구나 싶었다. 1월 7일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에 ... ...
딥러닝 기법으로 수십초 내 98% 정확도로 박테리아 검출
연합뉴스
l
2022.02.10
KAIST, 플랫폼 개발…의료·식품 안전 분야 활용 기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조성호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정연식 교수 공동 연구팀이 딥러닝(기계 자체 학습) 기법 등을 응용해 빠르고 정확하게 박테리아를 검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