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절
당
파
편의
편익
떡
떡밥
스페셜
"
편
"(으)로 총 1,492건 검색되었습니다.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홀로 연구해 노벨상까지 탄 ‘리처드 헤크’
2016.01.08
된다. 1968년 저명한 학술지인 ‘미국화학회저널(JACS)’에 헤크 단독저자의 논문 일곱
편
이 줄줄이 실리면서 화학계가 깜짝 놀랐고(‘도대체 헤크가 누구야?’) 덕분에 1971년 헤크는 델라웨어대로 자리를 옮겼다. 헤크 교수는 이 업적으로 2010년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는데, 한 인터뷰에서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16세에 논문을 발표한 ‘에릭 데이비슨’
2016.01.06
조절 네트워크라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했다. 두 사람이 1969년과 1971년 발표한 논문 두
편
은 이 분야의 고전으로 남아있다. 1980년대 개발된 DNA재조합기술과 1990년대 등장한 고성능 염기서열분석법을 이용해 데이비슨은 해양생물인 성게의 발생과정을 분자차원에서 규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많은 ... ...
연말정산, 올해 달라진 점은?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1.04
늘리는 것이 유리하다. 연말정산 시 자신의 보험료․노령연금 받는 부모도 기본공제 한
편
, 근로자 자신이 낸 국민연금 보험료와 노령연금을 받는 부모에 대해 공제받을 수 있는지도 관심사다. 최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연말정산이 소득공제에서 세액공제로 바뀌었지만, 국민연금 보험료는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1)끈이론 확립에 기여한 물리학자 ‘남부 요이치로’
2016.01.01
수상)의 추천으로 오사카시립대 교수로 부임해 양자이론에 대한 중요한 논문 두
편
을 썼다. 1952년 역시 도모나가의 추천을 받은 로버트 오펜하이머가 남부를 미국 프린스턴고등연구소로 초청했다. 이곳에서 그를 지켜본 물리학자 머피 골드버거가 1954년 시카고대로 데려간다. 당시 시카고대 ... ...
퇴직연금 과세 대 분석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대해 매년 15.4%의 세금이 징수되는 것과 비교하면 연금소득세율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다. 다만 세액공제 받은 금액과 운용수익에서 발생한 연금소득이 연간 1200만 원이 넘어가면 해당 연금소득을 전부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율로 과세한다. 세제 혜택 대신 중도 인출 사유 제한 현재로서는 ... ...
일반상대성이론 100주년, 인류의 삶이 달라졌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완성한 일반상대성이론의 도움을 받아 우리 인류는 수학적 계산만으로도 지구 반대
편
과 오차 없이 교신할 수 있게 되었다. 태양계를 벗어나 은하계 바깥의 세상에서 벌어지는 현상도 매끈하게 설명하는 존재로 올라섰다. 바다에서든 산속에서든 손쉽게 위치를 찾아내고 전선이 연결되지 않아도 ... ...
마인드마이닝(mind mining)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파일럿 에피소드(몇
편
의 시험 제작을 통해 시청자와 광고주의 반응을 바탕으로 정규
편
성을 결정하는 방식) 제작 없이 시리즈 전체를 한꺼번에 제작해서 드라마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했다. <하우스 오브 카드>의 흥행에 힘입어 넷플릭스는 매출이 23% 증가하고 주가가 18%나 오르는 호재를 ... ...
옴니채널, 경험을 바꾸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속에서 보아오던 소비사회의 단면들을 우리 일상에서 구현할 것이다. 우리의 삶은 좀 더
편
리해지고 소비는 더욱 자유로워질 것이다. 우리는 저렴한 가격을 찾으려 고민하거나 더 좋은 상품을 선택하려는 고민에서 벗어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풍경이 우리의 삶을 윤택하게 하는 유토피아의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RNA가 DNA와 결합할 수 있음을 보였는데, 이는 훗날 DNA칩을 만드는데 출발점이 됐다. 한
편
대장균 같은 원핵생물에서 전사로 만들어지고 있는 전령RNA에 리보솜이 줄줄이 달라붙어 번역, 즉 단백질을 만드는 복합체인 폴리솜(polysome)을 규명했다. 다들 생명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기초연구다. 1979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피임약의 아버지 ‘칼 제라시’
2015.12.26
작가로서 제 2의 삶을 시작한다. 1989년 첫 장
편
‘칸토의 딜레마’를 시작으로 장
편
소설 5
편
을 냈고 1998년부터는 희곡으로 장르를 옮겨 2012년까지 꾸준히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주로 과학자를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발견의 우선권을 두고 벌이는 경쟁이나 과학기술의 윤리적 의미 등을 다뤘는데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