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뉴스
"
확인
"(으)로 총 17,541건 검색되었습니다.
코오롱생명 "인보사, 임상서 검증된 약…더 뭘 검증해야 하나"
연합뉴스
l
2019.04.11
국내에서 유통된 인보사의 형질전환세포(TC)가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293유래세포인지를
확인
하는 최종 보고서가 오는 15일 나올 예정이다. 이와 별개로 식약처는 자체 검증을 위해 코오롱생명과학에 인보사의 세포를 요청했다. 코오롱생명과학은 충주 공장에 있는 인보사의 세포를 식약처에 ... ...
태양전지 수명 늘리는 새로운 정공수송층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후 간단히 열처리를 하면 기존 정공수송층 소재보다 전기전도도가 5배 이상 뛰어난 것이
확인
됐다. 백경열 박사는 “이번에 개발한 정공수송층 소재는 유기 태양전지 내의 기존 문제를 보완하는 한편 에너지변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유기태양전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 ...
인간 뇌, 분산과 중첩이 동시에 존재하는 특이구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네트워크와는 달리 제어영역이 분산된 동시에 서로 중첩된 특이한 구조로 이뤄짐을
확인
했다. 뇌의 각 영역이 분리되어 있지만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기능을 활성화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뇌는 높은 강건성을 유지하며 여러 인지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영역들의 상호 활성화를 ... ...
”인류는 처음 블랙홀의 모습을 보고 있다”(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어떨지에 대한 다양한 모델이 존재했는데, 이번에 그 중 어떤 모델이 맞는지 관측으로
확인
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천체물리학저널’에 여섯 편의 논문으로 공개될 예정이다. 이번 연구에는 세계 각국 13개 기관에서 총 200여 명의 연구자가 참여했다. 한국은 천문연 소속 ... ...
하얀 치아 만들려다 이 삭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교수는 "그 결과 두 경우 모두 콜라겐이 과산화수소의 영향으로 잘게 부서질 수 있음을
확인
했다"며 "미백치료에 쓰는 농도의 과산화수소로는 상아질의 콜라겐층이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이미 임상에서는 과산화수소 농도가 클수록 미백치료시 이가 시린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찬드라 X선 관측선을 통해 검증도 완료해 블랙홀이 적색 거성을 삼키는 과정이었음을
확인
했다. 하지만 이때도 블랙홀 자체를 시각적으로 보여준 것은 아니었다. 두 블랙홀이 병합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중력파가 퍼져나가는 모습의 상상도.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2015년에는 두 개의 블랙홀이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블랙홀에서는 한 점의 빛도, 어떤 신호도 나올 수 없다고 설명했다. 블랙홀의 존재를
확인
했지만 실제로 관측하기 어려운 이유다. 10일 사건지평선망원경(EHT, Event Horizon Telescope) 국제연구 프로젝트가 인류 최초로 공개한 처녀자리 은하단의 중심부에 존재하는 거대은하 M87 중심부 초대질량 ... ...
인류가 최초로 관측한 블랙홀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최초의 블랙홀 영상. 사진제공 EHT 인류가 ‘블랙홀’의 핵심부를 영상으로
확인
하는 데 성공했다.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을 제시하면서 처음 개념 ... 있는 블랙홀 시뮬레이션 이미지다. 이번 관측으로 이런 모델 가운데 어떤 것이 정확한지
확인
할 수 있게 됐다. 사진 제공 ... ...
[과학게시판] KIO-Dream 해양과학교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참가 방법은 KIOST 홈페이지((www.kiost.ac.kr) 또는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dongascience.com)에서
확인
할 수 있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과학문화축제 '2019 사이언스데이'를 13~14일 이틀간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개최한다. 청소년과 가족이 과학을 주제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조사한 결과 이동 거리에 대한 기존의 자료와는 엄청난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를
확인
했다. 방사 후 재포획 된 14번 붉은점모시나비. 높은 산에서 사는 까닭에 '알파인 버터플라이(Alpine butterfly)' 라고 불리는 붉은점모시나비는 바람 찬 정상 부근의 넓고 푸른 들판이 자기가 사는 곳이다. 그런데 ... ...
이전
1172
1173
1174
1175
1176
1177
1178
1179
11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