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태아 쥐의 뉴런*이 성장하는 동안 ‘액틴’의 모습을 담았지요. ‘액틴’은 세포가 모양을 유지하거나 근육이 수축하고 이완하는 등의 세포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이에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이론천체물리학자 제레미 슈니트만 연구원도 지난해 블랙홀 ‘M87*’이 공간을 얼마나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프랭크 포스가 만든 ‘이중 중심축 착시(아래 사진)’예요. 작품 영상에는 물고기 모양의 선이 왼쪽으로 회전해요. 선 사이에 세로 방향의 중심축을 칠하면 왼쪽으로 도는 게 더 명확하게 보이죠. 그런데 어떻게 보면 물고기가 오른쪽으로 회전하기도 하고, 가로 방향의 중심축을 칠하면 회전 방향이 ... ...
- [통합과학 교과서] 저 우주의 별을 따다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그 결과, 목성의 4~13배 질량의 외계 행성이 별 주변을 돌면서 원반의 물질을 나선 팔 모양으로 모았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천문학자들이 촬영한 원시 행성계 원반의 가장 밝은 부분에서 행성이 만들어지는 중이란 거죠. 안토니 보칼레티 박사는 “AB Aurigae는 행성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이런 반응들을 보면, 나는 분명 오랜 시간 두 세계 사이에서 갈팡질팡하며 살아왔던 모양이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그건 혼란스러웠지만 꽤 즐거운 경험이었다. 그리고 그 경험들은 두 세계가 사실은 분리돼 있지 않다는 것을 알아가는 긴 과정이기도 했다. 주기율표가 안내한 화학의 세계열다섯 ... ...
- [매스크래프트] 크리스마스 트리에서 시에르핀스키 삼각형이 떠오른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안에서 무한한 둘레를 갖다니! 정말 신기하죠? 제가 소개한 프랙털 외에도 다양한 모양의 프랙털을 만들 수 있어요. 이번 크리스마스엔 캐롤을 들으며 나만의 프랙털 트리를 만들어보세요 ... ...
- [수학체험실] 튜브야 내 몸을 부탁해~ 토러스수학동아 l2020년 12호
- 필수죠. 그렇다면 나이대별로 적절한 튜브의 크기는 어떻게 구할까요? 수학에서 튜브 모양을 이르는 ‘토러스’의 구조를 살펴보면서 직접 구해봅시다. 내 몸을 지켜줄 튜브의 크기는? 물놀이를 즐기거나 해난 구조를 할 때 사용하는 튜브는 크기가 다양하다. 보통 6~7세는 지름이 60cm인 튜브를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홍릉숲에 가면 크리스마스 엽서에서 튀어나온 듯한 나무를 볼 수 있다. 자연스러운 원뿔 모양에, 솔잎 길이의 절반 정도 되는 짧고 두툼한 잎이 줄기를 빈틈없이 덮고 있는 나무. 심지어 잎 뒷면은 은빛이 도는 은은한 흰색으로 빛나는 나무. 바로 구상나무(Abies koreana)다. 구상나무는 서양에서 ... ...
- 50년 인류 최대 프로젝트 ITER 본격 조립 시작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현상을 발생시키는 속이 빈 도넛 모양의 용기인 ‘토카막(Tokamak)’은 9개의 똑같은 D자 모양의 진공용기를 이어 만든다. 이날 첫 조립에 들어간 진공용기의 6번 섹터가 한국에서 조달됐다. 진공용기 6번 섹터는 폭 6.6m, 높이가 11.3m, 무게가 400t(톤)인 초대형 스테인리스(철강) 구조물이다. ITER 부품 중 ... ...
- [헷갈린 과학] 비숑프리제 VS. 몰티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프리제는 눈에 비해 큰 코를 가지며, 두 눈과 코에 점을 찍어 삼각형을 그리면 정삼각형 모양이 된답니다.비숑 프리제는 원래 스페인 선원들이 주로 배에서 키우던 개로 알려져 있어요. 14세기, 선원들은 비숑 프리제와 함께 무역로를 이동했지요. 당시 항해사들은 비숑 프리제가 낯선 사람에게도 잘 ... ...
- [과학뉴스] 백악기 대멸종의 원인은 소행성 충돌 ‘각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초속 12km와 20km로 날아들 때, 지면과 90°, 60°, 45°, 30°로 충돌하면 어떻게 될지 충돌구의 모양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했지요. 그리고 칙술루브 충돌구의 실제 지질 구조와 비교했어요. 그 결과, 유카탄반도 북동쪽에서 초속 20km의 소행성이 45~60°로 날아왔을 때의 충돌구가 실제와 가장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