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Zone
구역
시골
지방
지대
죤
d라이브러리
"
존
"(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걸프전 환경영향 진상 밝히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상상이상으로 강력한 것"이라고 밝혔다. 페르시아만 지역의 조사책임역을 맡았던 NOAA의
존
로빈슨은 이 검열 지시를 백악관의 내무담당보좌관인 스테판 단잔스키라는 사람이 내렸다고 폭로했다. 그러나 단잔스키는 이를 부인하면서 모든 지시는 국무성으로부터 나왔다고 주장했다. 어쨌든 이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수 없었다. 1948년에 이 문제를 해결하는 길을 세사람의 미국 과학자들(윌리엄 쇼클리,
존
바딘, 월터 브래튼)이 발견했다. 이 세사람의 연구결과는 전자공학 분야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두가지 발명, 반도체로 만든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탄생시켰다. 이로써 작고 신뢰도가 높은 전자기기들이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문기사의 퇴직을 앞둔 캠벌수프회사는 그 전문기사의 경험과 기술을 프로그램으로 보
존
하고 있다. 즉 영역전문가(domain expert)와 지식기사(knowledge engineer)의 합작이었다. 이후에도 많은 전문가시스템은 인공지능의 유일한 보금자리로서 큰 역할을 하였다.그러나 전문가시스템은 인간이 행할수 있는 ... ...
태양주위 감싼 코로나의 신비 벗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는데 일본의 국립천문대와 미국의 마샬우주센터가 연구주체다. 마샬우주센터의
존
데이비스박사는 이번에 X선망원경으로 촬영한 코로나의 사진을 가리켜 "지난 20년동안 찍은 사진중 가장 획기적인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목성 궤도를 넘어설 것이다.베텔기우스가 변광성이란 사실이 최초로 알려진 것은 1836년
존
허셀(John Herschel)에 의해서다. 1849년에 그는 이 별의 밝기 변화가 1836년에서 1840년까지 특히 주목할만한 변화를 보였다고 발표했다. 그 변화는 곧 또다시 증가했고, 1852년 12월말경 허셀은 베텔기우스가 천구 ... ...
과학용어의 비과학적 사용 삼가야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다트머스대학에서 열린 조그만 모임으로부터 시작된 인공지능 연구는 마빈 민스크,
존
맥커시 등 천재들과 수많은 관련연구자들의 노력에 힘입어 그동안 상당한 성과를 보였지만 아직까지 지능이 있는 컴퓨터를 만든다는 최종목표의 시발점에 머물러 있다. 비유컨대 세살바기의 지적 능력을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복잡한 인간의 사고체계나 심볼(symbol)을 처리하는 인공지능 분야에서는 없어서는 안될
존
재가 됐다.리스프의 중요한 특징은 괄호가 많아서 처음 접하는 사람에게 공포심을 준다는 것과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구별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즉 한 프로그램이 다른 프로그램 자체를 읽어서 고칠 수 있다. ... ...
2000년대 여는 미래 상품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우리 사회에서는 모든 권력이 TV덕이라고 하지만, TV 그 자체는 오히려 귀찮기조차 한
존
재다. TV를 켜기 전까지는 이 놈은 움직이지도 않고 아무런 재미도 주지 못한다. 그러나 한 전자회사가 이런 TV에 변화를 주려 하고 있다.대우전자에서 만들 하이터치(High Touch) TV는 구석에 꼼짝못하고 고정되어 ... ...
걸프전 환경테러 후유증 심각하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임상병리연구소가 곧 이 인체유해성에 대한 조사를 시작할 계획이다. 이 연구소의
존
제웰 대령은 최근 미국의 과학월간지 사이언티픽 어메리컨(Scientific American)과의 인터뷰에서 연구를 위해 먼저 전쟁 중에 죽은 군인들의 세포조직 일부를 떼내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기에는 사우디아라비아나 ... ...
여성 천문학자들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녀 생애의 가장 위대한 순간은 페루에 있는 하버드 천문대에서 우리 은하계 밖에
존
재하는 수많은 별들의 집단인 마젤란성운을 연구하던 1912년에 있었다. 마젤란성운의 별들은 모두가 우리로부터 거의 비슷한 거리상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전체(지구로부터)거리에 비해 별들간의 사이가 짧기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