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부모의 지원을 더 받은 첫째는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다. 이에 반해 둘째는 기존의 방식을 지지해 봤자 자신에게 이득이 될 것이 없기 때문에 반항적이다. 반면 막내는 둘째보다 부모에게 더 많은 지원과 관심을 받는다. 부모 입장에서는 유전자를 퍼뜨릴 수 있는 마지막 수단이기 때문에 아낌없이 ... ...
- [과학뉴스] 기억 안 나세요? 눈 감으세요!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가령, 면접관과 친밀한 관계를 쌓고 눈을 뜨거나 감은 상태로 답하거나, 면접관과 친해지지 않고 눈을 뜨거나 감은 상태로 답하게 했다. 그 결과, 눈을 감고 답한 그룹이 눈을 뜬 그룹보다 정답을 말할 확률이 23% 더 높았다. 면접관과 친밀할 때도 정확도가 높아졌지만, 눈을 감는 것보다 효과가 ... ...
- [Knowledge] 그 많던 플라스틱은 누가 다 먹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안 돼심해저에 가라앉은 플라스틱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표층에 떠 있는 플라스틱의 영향을 살펴보면 생각보다 어렵지 않게 유추해볼 수 있다. 플라스틱 해양쓰레기를 30년간 연구한 최고 전문가 프랑수아 갈가니 원장을 e메일로 인터뷰했다.플라스틱 ... ...
- [Knowledge] 끈 매고 뛰는 우주 런닝머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나아질 듯 하다. 심장을 위협하는 수분 상실“그나저나 여행하는 동안 갈증이 자주 느껴지지 않았나요?”나도 모르게 목으로 손이 갔다. “여행 때요? 잘 모르겠어요.”“중력이 사라지면 혈액이 머리와 가슴 부위에 모이거든요. 그러면 이를 느낀 심장이 신장을 통해 체수분을 방출해 버리죠. 몸은 ... ...
- [생활] 교묘한 데이터 조작, 벤포드 법칙은 못 속인다!수학동아 l2015년 02호
- 표가 조작된 흔적이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사건은 아직까지도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이처럼 데이터 조작을 밝혀낼 수 있는 건 많은 데이터가 벤포드 법칙을 따르기 때문이다. 주식 가격, 예상 기온, 인구수, 선거 결과, 유전체 데이터, 피보나치 수열, 2의 거듭제곱 수 등 무수히 많다.의심 ... ...
- [생활] 입소문이 만들어낸 맛, 허니버터칩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계속 쌓이기만 하면서 ‘소문 정체’가 일어난 것이다.한 번 높아진 밀도는 쉽게 낮아지지 않는다. 명절이나 연휴기간 한 번 시작된 교통정체가 쉽게 풀리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다. 인기 밀도를 낮추는 방법은 간단하다. 허니버터칩이 더 많이 시장에 나오거나 사람들의 관심이 떨어지면 된다. ... ...
- [생활] 낮에는 선생님, 밤에는 작가 수학 교사 미술가 김주희 작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셈이죠. 그런데 알고 보면 여집합은 화분, 나 자신이 만드는 거예요. 나만 없다면 나눠지지 않은 하나의 세상인 것이죠. 즉 소통 부재의 원인이 과연 어디에 있는지 생각해 보게 하는 작품이에요.”이어 김 작가는 지난 개인전 때 선보였던 콜라주 기법의 작품을 집어 들었다. 콜라주는 캔버스에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시작할지 결정하는 게 중요하다. 무작정 뜨개질을 시작했다가 원하는 물체가 만들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뜨개질을 함수로 나타내 3D 컴퓨터 모델로 만들면, 어떤 경로로 바늘이 움직여야 뜨개질이 되는지 눈으로 확인해 볼 수 있다. 일종의 바늘 지도다. 이 모델을 보면서 뜨개질을 하면, 초보자도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식사, 수면으로 시간을 보냈다. 11월, 부빙은 또다시 표류했고 탈출 가능성은 조금도 높아지지 않았다. 매일 눈과 바람과 추위에 시달렸다. 21일이 되자 인듀어런스 호는 바닷물 속으로 완전히 가라앉았다. 커드 호의 출항. 얼음 위를 벗어나 겨우 섬에 도달했지만, 그곳은 무인도였다. 사람들에게 ...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생물이 다 포함돼 있었다. 실험 결과, 생존률이 가장 높은 생물이 지의류였다.바위딱지지의속(Acarospora)에 속하는 지의 등 극히 일부 종이 생명 현상을 이어갔고, 스페인 산맥에서 채집한 붉은녹꽃잎지의(Xanthoria elegans)는 다른 어떤 귀환 생물보다 광합성 성공률이 높았다. 홍 박사는 “지의류는 ... ...
이전1131141151161171181191201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