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뉴스
"
먹이
"(으)로 총 1,3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뱀 찾아 주시면 사례금 100만 원 드립니다”
2015.07.08
국내 자생종인지 열대지방에서 유입된 종인이 확인할 계획이다. 또 바다뱀을 기르며
먹이
등 생태도 연구할 생각이다. 박 교수는 “바다뱀은 세계적으로도 57종만 확인된 특이 종”이라면서 “바다뱀은 생물다양성 측면에서도 중요하지만 맹독성 생물인 만큼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서도 ... ...
고양이 오줌 냄새가 겁 없는 쥐 만들어
2015.07.06
고양이 오줌 냄새를 두려워하지 않는 쥐는 고양이가 오더라도 피하지 않아 고양이
먹이
가 되기 마련이다. 연구팀은 고양이 오줌 냄새 중에서도 쥐에게 영향을 미치는 냄새 물질은 ‘펠리닌(L-Felinine)’이라고 밝혔다. 이 물질은 이전 연구에서 암컷 쥐의 임신을 방해하는 등 쥐의 생식에 미치는 ... ...
멕시코만 원유 유출 5년, 생태계 살아났나?
2015.07.06
반면 우리나라 태안이나 멕시코만은 따가운 햇빛이 기름을 분해하고 미생물이 활발히
먹이
로 삼으면서 빠른 회복세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기름유출로 큰 피해를 본 생물들도 많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큰돌고래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기름유출로 상황이 악화된 것만은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보금자리를 꾸미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먼 후손인 연체동물이 이 생물막을
먹이
로 삼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만들기란 쉽지 않다. 다만 염도가 높은 특수한 조건에서는 연체동물이 살 수 없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가 만들어진다. 샤크베이 말고도 살아있는 스트로마톨라이트를 ... ...
대나무 없인 못살아! 판다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30
그래서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른 뒤 판다는 대나무를 많이 먹을 것인지, 아니면 다른
먹이
를 찾아 살고 있는 터전을 떠날 것인지 결정해야 했어요. 최종적으로 판다는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국 서부에서 대나무를 먹고 살기로 결정했고, 지금과 같은 초식 동물이 됐답니다. ※ 더 많은 ... ...
지저귄다구요? 저희도 대화하는 거랍니다~
2015.06.30
중엔 날아다닌다는 의미의 ‘AB’를, 둥지에 있는 아기 새에게
먹이
를 줄 때는 신속히
먹이
먹을 준비를 하라는 의미의 ‘BAB’의 소리를 내는 식이다. 또 연구팀은 소리를 듣는 새들도 각 형태에 걸맞은 행동을 보이는 것을 확인해 이 소리가 의미를 가졌다는 것을 알아냈다. 다른 새들에게 ... ...
남극 ‘펭귄마을’은 안녕하신가요
2015.06.26
방대해 분석에만 앞으로 5, 6개월이 더 걸린다”면서 “젠투펭귄과 턱끈펭귄이 서식지와
먹이
환경의 변화에 어떻게 적응하는지 분석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3월 태안군 안면읍 중장리 천수만에 서식하는 청둥오리에 22g짜리 위치추적기(WT-300)를 부착한 뒤 지금까지 서식지 이동 경로를 ... ...
“멀리 돌아가도 좋다. 서툴러도 괜찮다”
2015.06.07
함께 지내는 사바나에 살지만 고슴도치는 남들이 거들떠보지 않는 땅속의 지렁이를
먹이
로 택했다. 가젤은 지그재그로 뛰는 특이한 주법을 이용한다. 이는 직선 경주에 능한 포식자인 치타를 이길 수 있는 가능성을 어느 정도 열어둔 것이다. 이밖에도 책에서는 약자들이 어떻게 살아남았는지 ... ...
장수하려면 저단백-고탄수화물? 고단백-저탄수화물 아니고?
2015.05.31
제한하지 않는 두 가지 상황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의 비율을 달리하는 식으로 8주간
먹이
를 제공했다. 그 결과 단백질의 비율이 낮고 탄수화물의 비율이 높은 저단백질-고탄수화물 식단을 먹은 쥐의 대사활동이 가장 활발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들 그룹은 인슐린 민감성이 줄고, 혈당과 ... ...
수원청개구리가 사라지고 있는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29
먹는 다양한 곤충들이 살고 있기 때문에 개구리는 수초에 있는 곤충을 먹으며 넉넉한
먹이
활동을 할 수 있어요. 또 수초 사이에 숨으면 낮에도 포식자를 피할 수 있어요. 이처럼 청개구리와 수원청개구리에게 배수로는 낮 시간 동안에 쉴 수 있는 최상의 장소지요. 즉, 농촌의 배수로는 단지 물이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