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뉴스
"
실험실
"(으)로 총 1,8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핵융합 3파전…한국 인공태양이 최종 승자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21
있는 장치를 192개 넣는다. 이 많은 레이저 발사장치의 ‘총구’가 향하는 곳은 단 한 곳,
실험실
한가운데 지점이다. 이곳으로 ‘펠릿’이라고 부르는 총알 비슷한 어른 새끼 손가락 크기의 작은 캔을 떨어뜨리는데, 정가운데에 펠릿이 위치할 때마다 사방의 192개 장비가 동시에 자외선 레이저를 ... ...
[과학게시판]아시안 사이언스 캠프 2019 한국대표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19
위해 ‘
실험실
창업기업 공개 투자데모데이’를 개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실험실
창업기업의 우수성 홍보 및 민간 투자유치 촉진을 위해 마련됐다. 과학기술일자리진흥원과 7개 투자기관이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 ‘초기기업의 성공적인 투자유치 전략’을 주제로 서학수 ... ...
사람 세포가 10배 커지면 어떻게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커졌다. 지금까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원인을 알 수 없었다. MIT 생물학과 연구팀은
실험실
에서 효모 세포를 10배가량 부풀리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세포가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하지 못하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를 이끈 가브리엘 뉴로르 박사후연구원은 “세포 속 DNA가 정상 기능을 하는 데 ... ...
국산 큐브샛 '티몬'과 '품바', 코로나 관측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중 임무를 완수한 위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안다”며 “실패를 통해 경험을 쌓는
실험실
차원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분야”라고 말했다. 2012년 첫 큐브샛 경연대회가 열릴 때만 해도 초소형위성은 한국에서는 거의 연구하지 않던 분야다 보니 개발에 어려움이 많았다. 박 교수는 ... ...
기초연구 부족으로 상용화 속도 더딘 '인공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2017년 8월 미국의 인공고기 스타트업인 ‘멤피스 미트’에 수천만 달러를 공동 투자했다.
실험실
에서 키운 인공고기가 인류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란 기대다. 하지만 굵직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인공고기 상용화는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기초연구 부족으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 ...
스모그 먹고 자란 박테리아가 미세먼지 된다
과학동아
l
2019.02.05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2017~2018년 네 차례에 걸쳐 스모그 샘플을 수집했다. 연구팀이
실험실
에서 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스모그에는 아시네토박터, 고초균 등의 박테리아가 섞여 있었고 종별로 50~70%가 스모그 속에서도 계속 생존했다. 연구팀은 박테리아들이 스모그 내 오염물질을 먹고 자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주기율표는 단순히 화학적인 영역에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전 세계 모든 화학
실험실
과 교실에 걸려 ‘우리는 여기서 과학을 한다’고 알리는 깃발 또는 배너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1869년 멘델레예프는 당시 알려진 모든 화학적 원소를 분류한 주기율표를 처음 내놨다. 각 원소의 ... ...
우주에서 ‘당’ 만들어진다?
과학동아
l
2019.02.01
미국항공우주국(NASA) 아베스연구센터 연구원팀은 우주 공간을 모방한 조건을 갖춘
실험실
에서 DNA의 당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8년 12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주 환경을 모방하기 위해 물과 메탄올 분자를 절대영도(영하 273.15도)에 가까운 ... ...
자연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고장난 혈관 대체할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연구팀은
실험실
에서 줄기세포를 정렬한 조직과 그렇지 않은 조직을 배양해 비교했다.
실험실
에서 조직을 배양한 지 7일이 지나자 줄기세포를 정렬한 조직은 한 방향으로 혈관이 자라나는 모습을 보였다. 혈관도 10배 이상 잘 형성됐다. 정렬 배양한 조직은 무작위로 배양한 조직에 비해 혈관의 ... ...
”깜깜이 대학원 진학은 낭비, 학생·교수 참여 통해 공정성 높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했을 때 치러야할 기회비용이 너무 큰 것도 문제다. 유 대표는 "한국은 제도적으로 다른
실험실
로 옮길 수 있지만 현실적으론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도 교수가 졸업에 대한 절대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교수와 연구실이 맞지 않아 나왔지만 이런 사실이 꼬리표처럼 붙어다니는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