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도양단
양단
뉴스
"
일도
"(으)로 총 52,935건 검색되었습니다.
자막처럼 펼쳐지는 실시간 대화…청각장애인용 스마트클래스 '씨사운드'
과학동아
l
2025.05.24
과학동아 제공 모든 대화를 입과 귀가 아닌 오로지 손과 눈으로만 해야 하는 청각장애인. 2023년 기준 한국의청각장애인 인구는 43만 3000명에 달한다. 일상 속 작은 소통도 제약으로 느끼는 이들이 최근 주목하는 특별한 안경이 있다. 바로 청각장애인용 스마트글래스인 '씨사운드(SeeSound)'다. 과연 ... ...
광고성 메일을 '스팸메일'로 부른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5.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메일함에서 광고성 이메일을 발견하고 휴지통에 버린 적 있나요. 광고나 홍보 목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동의 없이 전달되는 메일을 '스팸 메일'이라고 합니다. 1978년 미국 컴퓨터 회사 '디지털 이큅먼트 코퍼레이션'의 직원 게리 터크는 세계 최초의 스팸 메일로 불리게 될 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싫은 것' 아는 것도 중요하다
2025.05.24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내가 어떤 사람인지 자신의 다양한 특성을 분명하고 일관적이게 정의할 수 있고 시간과 장소가 바뀌어도 자신이 어떤 사람이라는 느낌을 확실히 가지고 있는 상태를 심리학적 용어로 자기 개념 명확성(self-concept clarity)이 높다고 표현한다. 반대로 자기 개념 명확도가 낮은 사 ... ...
백령도에서 야생 점박이물범과 눈 맞췄다…"숨쉬기도 조심스러워"
과학동아
l
2025.05.24
동아 DB 한반도와 중국 사이 바다인 황해는 점박이물범이 살아가는 가장 남쪽 지역이다. 점박이물범은 겨울철 중국 랴오둥만의 유빙 위에서 새끼를 낳은 뒤 2월이면 인천 백령도로 내려와 여름을 난다. 그 다음 12월 초면 번식을 위해 다시 랴오둥만으로 돌아간다. 봄부터 늦가을 사이 백령도를 찾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광주과학관, 우주과학 특별전 기념이벤트 진행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국립광주과학관은 ‘우주항공 문화 주간’을 기념해 27일~6월 1일까지 ‘2025 우주과학 특별전–지구 너머의 세계’ 전시와 연계한 특별 이벤트를 운영한다. 국립광주과학관 제공 ■ 국립광주과학관은 ‘우주항공 문화 주간’을 기념해 27일~6월 1일까지 ‘2025 우주과학 특별전–지구 너머의 세계’ ... ...
[동물do감] 시력 나빠 어망도 못보는 혹등고래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혹등고래.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수염고래류의 대형 고래인 혹등고래가 숨지는 주요 원인은 '충돌'이다. 과학자들이 혹등고래가 배와 충돌하거나 어망에 걸릴 위험이 큰 이유를 밝혀냈다. 미국 윌밍턴 노스캐롤라이나대가 이끄는 연구팀은 혹등고래의 시력이 주변 환경의 대부분을 희미한 실루 ... ...
수면무호흡증 코골이 환자 '희소식'…먹는 약 대규모 임상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수면무호흡증 환자가 치료를 위해 착용해야 하는 양압기(CPAP). 위키미디어 제공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한 먹는 약물이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참가자 절반의 비정상적인 호흡 증상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참가한 환자 5명 중 1명은 증상이 완전히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 중 마스크 형태의 ... ...
전공의 추가 모집 지원 미미…복귀 가능성 여전히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5월 사직 전공의 추가 모집 마감 기한이 다가옴에도 지원자 수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제공. 전국 수련병원들이 전공의 추가 모집을 진행하고 있다. 지원자 수는 저조한 수준인 것으로 전해진다. 강경파 전공의 중심으로 복귀할 때가 아니라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23일 의료계에 ... ...
펭귄 배설물, 남극에 구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아델리펭귄(학명 Pygoscelis adeliae)은 키 70센티미터, 몸무게 최대 6킬로그램까지 크는 중소형 펭귄이다. 남극 대륙 해안에서 흔히 볼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남극 펭귄의 배설물이 구름을 만드는 데 도움을 준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펭귄의 생리 활동이 남극 기후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 ...
눈 감아도 보인다…야간투시경 역할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중국과학기술대(USTC) 연구팀은 세계 최초로 사람이 맨눈으로 적외선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콘택트렌즈를 개발한 연구결과를 22일(현지시간) 셀에 발표했다. 해당 렌즈 착용 모습. Yuqian Ma, Yunuo Chen, Hang Zhao 제공 눈을 감아도 적외선을 이용해 사물을 식별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가 나왔다. 중국과 ... ...
이전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