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실적
결말
성적
결실
결정
소산
d라이브러리
"
성과
"(으)로 총 2,117건 검색되었습니다.
불에 그을린 명화 NASA 기술로 복원
과학동아
l
200103
달, 화성, 금성에 이어 네번째의 천체에 발을 디딘 셈이다. 문제는 NASA의 이러한
성과
에 대한 미국인들의 시큰둥한 반응이다. 반세기를 맞은 NASA의 우주 탐사는 현재까지는 엄청난 예산에 비해 아무런 경제적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때문에 NASA의 운영을 비판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는 것이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03
니어-슈메이커가 착륙하면서 69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보내왔다. 엄청난 보너스
성과
였다.손바닥만한 함몰지형그동안 밝혀진 에로스 표면지형에 따르면, 곰보같은 달 표면과 달리 의외로 작고 새로운 크레이터(운석구덩이)가 적으며 표석들이 매우 많았다. 표석의 일부는 운석이 에로스와 충돌한 후 ... ...
인간게놈프로젝트 99% 완성
과학동아
l
200103
인간을 달에 보내겠다던 아폴로 계획. 생명공학계에서 이에 버금하는 야심찬 계획인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드디어 완성됐다. 6개국으로 구성된 다국적팀과 미국의 ... 사용해 인간의 게놈지도를 작성하는데 성공한 것이다. 새로운 세계를 여는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
를 낱낱이 살펴보자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
과학동아
l
200103
가능할 것이며, 따라서 제약회사들은 SNP를 이용해 신약의 특이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성과
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그러나 그동안 연구된 암호화 부위에 해당하는 SNP 지도로는 각 개인에 따라 질병에 걸릴 확률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매우 미흡한 실정이었다.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3 현장취재 영국 런던 다국적팀 기자회견장
과학동아
l
200103
행성 위에 사는 모든 사람의 공동 정보다. 이번 연구결과는 항생제 발견보다 우수한
성과
다”라는 요지의 축하 인사를 했다. 영국 정부는 게놈 관련 예산을 증액하기로 결정해 1억1천만 파운드(한화 약 2천억원)를 배정했다.기자들과의 일문일답에서 다국적팀은 앞으로 2020년까지 유전자 차원에서 ... ...
1. 미르 태평양에 평안히 잠들라
과학동아
l
200102
약 5천만원이 된다. 이런 막대한 예산을 마련할 예정이었던 미르콥의 노력은 그러나 별반
성과
가 없었다. 죽어가는 미르의 생명을 약간 연장하는 응급처치에 필요한 예산밖에는 모으지 못했다. 러시아 정부도 미르콥의 자금조달능력을 점차 비관적으로 보았다. 이와 함께 지난해 12월말 벌어졌던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02
가장 묻고 싶은 질문이 아닐까.“바이오벤처는 잡학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실험실의 연구
성과
를 기업화 하기 위해서는 거의 모든 분야를 섭렵할 자세가 돼 있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또 과학기술자도 일단 기업을 세웠다면 영업 마인드를 가져야 합니다. 기술이 있으면 벤처가 되지만 결국 벤처도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02
삼성종합기술원 김종민박사팀에 의해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성과
의 기반에 든든한 이론물리학자인 임지순교수가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잘 모른다. 2003년 정도면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릴 FED가 상용화될 전망이다. 우리의 생활과 관련된 것을 하고 싶어 고체이론 쪽으로 ... ...
3. 국내 감성공학 연구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102
현상이라고 진단한다. 따라서 감성공학에 대한 연구에 앞서 감성에 대한 기초 연구, 즉 감
성과
학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02
아주 적은 전력을 소모하며 수백 GHz 이상을 얻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초전도의 초고속
성과
저전력성을 이용한 전자회로의 개발은 일찍이 1970년대부터 미국과 일본에서 시도돼 왔다.그러나 아직 상업화에는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기술로는 수 GHz를 넘지 못하며, 반도체 기술과의 가격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