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테리어 돕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변환시킬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원래 평면 좌표에 있는 점 (1, 1)을 (1, 1, 1)로 변환하면 공간에 있는 점으로 옮길 수 있죠. 어반베이스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작동 원리는 이래요. 우선 2차원 좌표 평면에 그린 도면에서 각 지점의 색을 0~255의 숫자로 나타낸 색상값을 인식한 뒤 색상을 흑백 정보로 ... ...
- Part 2. 수학으로 꾸민 아름다운 공간 ‘벽지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인테리어에서 가장 고민한 부분은 바로 벽지야. 벌써부터 내 방 벽지가 실제 어떤 모습일지 정말 궁금한 거 있지? 수학적으로 고른 무늬거든! 벽지를 수학적으로 골랐다니 무슨 뚱딴지같은 말이냐고? 수학자들은 평면을 채울 수 있는 반복 무늬가 대칭성을 기준으로 17가지로 나뉜다는 것을 알아 ... ...
- Part 4. 좁은 공간도 문제 없다! 가구 옮기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로봇을 예로 들어 볼게요. 로봇은 우선 공간을 탐험하면서 각종 센서를 이용해서 공간에 대한 지도를 그려요. 그런 뒤 센서를 통해 지도에서 자신의 위치가 어디인지를 파악하고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를 계산해서 움직이죠. 최단 경로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해요. 그 중 잘 알려진 ‘A*’라는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일상용품을 예술 작품으로~ 마르셀 뒤샹의 ‘샘’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있었습니다. 기존의 개념을 완전히 바꾸는 것을 좋아했던 뒤샹이었기에, 그에게 타원 공간에서 펼쳐지는 리만 기하학은 너무나도 아름다운 학문이었지요. 리만 기하학, 기존 유클리드 기하학을 부정하는 기하학이라! 이는 본질적으로 뒤샹에게 다른 시각을 열어주는 기회로 작용했습니다. 뒤샹은 ... ...
- 인문학을 사랑한 수학자 게오르디 윌리엄슨 호주 시드니대 교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빛이 프리즘을 통과하면 단일 파장을 가진 빛으로 쪼개지는데요. 여기서 빛이 벡터 공간이고 단일 파장을 가진 빛은 ‘빌딩 블록’이에요. 단일 파장의 빛의 성질을 잘 알면 다양한 색을 가진 빛을 만들 수 있는 것처럼, 빛에 대응하는 군의 성질도 잘 이해할 수 있지요 ... ...
- [스타쌤의 수학 공부꿀팁] 부평동중학교 김정란 선생님, 새 가족이 생기는 수학 시간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확장해 2차원 평면을, 2차원 평면을 이용해 3차원 공간을 만드는 사고 과정을 통해 3차원 공간을 4차원 초입방체로 만들어내는 추론을 해보는 수업이었다. 교과서에서 안 배우는 수학 개념을 수업시간에 다룬 것이지만 김 교사만의 원칙은 있었다. 모든 수업은 본래 교육과정에 충실한다. 따라서 ... ...
- [이달의 PICK] 백악기 한반도에 ‘참새 공룡’ 살았다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다시 오랜 시간이 걸렸다. 2010년 발굴 이후 다른 발굴 조사에 밀려 오랜 시간 연구실 수장 공간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이다. 6년이 지난 2016년, 고성국제공룡심포지엄에서 해외 학자들을 초청해 이 발자국 화석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앤서니 로밀리오 호주 퀸즐랜드대 박사후연구원과 리다 씽 ... ...
- 현실같은 AR 게임 언제쯤 플레이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인식할 수 있어 현실적인 이미지 구현에 한계가 있다”며 “심도(깊이) 카메라를 이용해 공간을 3차원으로 인식할 수 있는 AR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촉감 구현은 햅틱 이용한 촉각 패드로 드라마에서 유진우는 AR 게임에 들어가 칼을 잡고 휘두른다. 칼의 손잡이를 통해 전달되는 ... ...
- [과학뉴스] 블루투스 전자알약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장치의 몸통에는 배터리, 안테나, 블루투스 장치, 센서, 4개의 약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있어요. 센서는 환자의 심장 박동, 호흡, 산소 포화도, 포도당, 혈압 등을 감시하는 역할을 하지요. 연구팀은 알레르기, 각종 감염 환자 등 오랫동안 약을 먹어야 하는 환자들을 위해 이 장치를 만들었어요.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준이 최대치였다. 당연히 항공기는 어림도 없었다. 하지만 중력이 없는 우주 공간이라면 어떨까. 한조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공기 저항이 없는 우주에서는 조금씩이라도 긴 시간 동안 이온을 가속시킬 수 있다면 이론적으로는 광속에 가까운 속도까지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