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식
형식상
정규
식
범식
공인
d라이브러리
"
공식
"(으)로 총 2,1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정식은 어디에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많이 사용하는 과학에서 방정식은 매우 자주 쓰인다. 사실 과학 시간에 배우는 거의 모든
공식
이 방정식이라고 할 수 있다. 몇 가지 문제의 예를 보자.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지구의 중력과 달의 중력 사이의 관계를 알아야 한다. 둘의 관계는 교과서 본문에서 설명하고 있는데, 달에서 어떤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날아가는 대포알의 움직임은 모두 같은 운동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또한 수학
공식
으로 정리한 법칙으로 규칙성을 파악하면 앞으로 일어날 자연 현상도 예측할 수 있다. 과학의 역사에서는 이론적으로 예측한 일이 실제로 실험이나 관측 결과 사실로 드러난 사례가 많다.✚수학으로 자손을 ... ...
수학자? 과학자?②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정리다. 앞서 파스칼이 이 계수가 삼각형 모양이 된다는 사실을 밝혔고,뉴턴은 이를 일반
공식
으로 만들었다.곧이어 발표한 미적분법은 뉴턴이 이룬 수학 업적 중에서 가장 중요하다. 미적분법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함수의 변화율을 다루는 분야로 여러 가지 물체의 넓이와 부피 등을 정확하게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추천한다. 문제를 풀 때 필요한
공식
을 찾아보는 수고를 덜어준다. 270여 가지가 넘는 수학
공식
과 법칙을 설명하며 화면 아래쪽에 대수학, 미적분, 기하학 정보를 탭으로 분류해 검색이 용이하다. 최근 물리학에서 일어나는 연구성과나 뉴스를 받아 보고 싶다면 ‘아이피직스업데이트(iPhysics-Updates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현 교수님도 연구단에 뽑힌 게 연구자로의 삶에서 전환점이 됐나요?현 : 처음 들어보는
공식
인데요(웃음). 물론입니다. 크기가 일정한 나노입자를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발표한 논문은 2004년 ‘네이처 머티리얼즈’에 실려 지금까지 500회가 넘게 인용됐습니다. 창의연구단의 연구비로 7억 ... ...
아폴로 박사 조경철을 그리며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부총장 역임 1988년 한국우주과학회 우주과학상 2001년 국제천문연맹에 소행성 ‘조경철’
공식
등록(일본인 발견) 2002년 영국 케임브리지대 ‘20세기의 탁월한 과학자 상’ 달 착륙 생방송으로 스타가 되다1969년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할 때 마침 미국에서 천문학을 공부하고 돌아온 조 박사가 ... ...
인간이 감당할 수 있는 친구 수는 150명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숫자고, R은이다.인간의 경우 R=4.1이고 N=147.8이다. 던바는 원숭이 집단에서 얻은 근사
공식
의 적용범위를 확장해 인간에게까지 적용했고 신석기시대 마을의 규모, 고대 독립된 부대의 규모를 검토해 자신의 이론에 정당성을 부여했다. 150명은 지금으로 치면 기본적인 전투능력을 보유하고 자체 ... ...
과학교과서에서 찾은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때 정비례는 y=(어떤 수)×x와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수학교과서에서 이처럼
공식
까지 써 가며 정확히 배운 비례 개념은 과학교과서를 공부할 때 유용하다. 중학교 1학년 때 배우는 힘과 운동 단원의 탄성력 부분을 보자. 탄성력은 용수철이나 활과 같은 물체가 힘을 받아 모양이 변했다가 원래 ... ...
고민타파! 키에 대한 모든 것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요소가 키를 결정하는 데 70~80% 정도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대. 그래서 미래의 키는 아래의
공식
으로 대략 예상할 수 있어. 물론 이것은 평균적인 예상 키이며, 사람에 따라 5~10㎝ 정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어.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예상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키를 가지기 때문에 예상 키는 ... ...
힐베르트의 세 번째 문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다른 점을 느끼고 고개를 갸우뚱했기 때문이다. 가우스는 두 번씩이나 편지에서 이
공식
의 간단한 증명이 없다는 사실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고 바로 이와 관련된 문제를 힐베르트가 국제수학자대회에서 세 번째 문제로 제시했다.세 번째 문제는 매우 단순하다. 높이와 밑면의 넓이가 같은 두 사면체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