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상
image
그림
심상
형상
이메지
상
d라이브러리
"
이미지
"(으)로 총 1,721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영상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제공할 수 있는 다섯 번째 나라가 된다.현재 정부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자회사인 KAI
이미지
를 비롯해 아리랑 2호가 찍은 위성영상 판매를 맡길 곳을 물색, 협상이 진행 중이다. 전 세계를 아우르는 위성영상 시장 네트워크를 만들겠다는 것. 지금까지 위성영상 서비스의 수요자에서 이제는 ... ...
도둑 발목 잡는 철통보안 동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셉테드라는 이름으로 발전하게 됐다.셉테드의 기본적인 기법은 감시, 접근통제,
이미지
개선, 영역성 표시의 4가지다. 감시 기법은 방범카메라 설치 같은 기계적 감시, 보행자 얼굴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보안등의 밝기를 높이는 것 같은 자연적 감시를 강화해 범죄가 발각될 확률을 높이는 것이다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집을 안전하게 지킨다.이 로봇은 미쓰비시중공업이 개발했다. 컨트롤러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주파수보다 2배, 또는 4배로 증폭한 데이터로 변환해 전달하는 기술 즉 엔진에서 제공하는 기본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일컫는다 이로써 레이저빔의 광파워를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이미지
를 표현하기 위한 선명도 대개 모니터가 지원하는 픽셀수가 많을수록
이미지
는 선명하다8백×6백 또는 그 이상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VGA 모드를 일컫는다초당 화면을 표시하는 횟수 CGA 모니터 또는 대부분의 TV는 초당 60회 표시하게 되므로 수직 주파수는 60Hz가 된다 이를 또 리프레시 주기라 ... ...
1. 백조가 더 이상 여자일 수 없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이뤄지고 있다. 송종건 무용평론가는 “서구에서는 실제 무용수와 가상 애니메이션
이미지
가 3차원 공간에서 함께 움직이는 디지털무용도 연구 중”이라며 “과학기술의 발달이 춤 문화를 변화시키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강조한다.차도에서 누군가 엄지손가락을 세운 채 팔을 위아래로 흔들고 ... ...
사람을 구별하는 귀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결과 얼굴 인식 기술보다 훨씬 효과가 좋았다”고 주장했다. 이 연구는 ‘컴퓨터 시각과
이미지
이해’지에 실렸다.닉슨 교수는 “귀는 얼굴과 달리 나이와 감정 변화에 따라 형태가 바뀌지 않고 위치가 얼굴 가운데에 고정돼 있다”며 귀를 이용한 생체인식기술의 장점을 설명했다. 그는 “긴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있다. 또 대표 얼굴을 여러 개 만들어 놓고 이와 관련도가 얼마나 되는지 구해 얼굴 전체
이미지
를 인식하는 방법이 있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이상윤 교수는 “두 가지 방법을 함께 사용할 경우 서로 보완되는 면이 있어 인식능력이 좋아진다”고 말했다.생체인식기술 중 정확도가 가장 높은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KVN사업 예산이 승인돼 공사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음은 한국 천문학 발전과 국가
이미지
를 위해서 천만다행한 일이다.KVN과 VERA만 비교하면 어쩌면 한국이 일본에 불과 7~8년 뒤쳐졌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스바루 광학망원경과 노베야마 전파망원경의 규모를 놓고 보면 두 나라의 격차는 1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뱀파이어보다 처녀귀신이 무섭게 느껴지는 건 공동묘지나 죽음에 대한 동양문화의
이미지
에 익숙하기 때문”이라며 공감한다.대부분의 공포영화는 이런 여러 소재들이 섞여 있다. 사람마다 무섭다고 느끼는 소재가 다르기 때문이다. ‘엑소시스트’에서 침대에 묶인 소녀의 기괴한 표정이 ... ...
미술로 풀어보는 수학 이야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혀와 항문, 눈으로 만든 꽃을 반복해서 배열한 이중근의 작품 ‘달콤한 혀’는 도발적인
이미지
로 즐거움을 선사한다. 이처럼 반복을 소재로 눈을 현혹시킨 미술가로 대표적인 사람이 바로 에른스트 에셔다. 그의 작품 ‘폭포 1961’은 폭포에서 떨어진 물이 다시 도랑을 타고 올라가는 비현실적인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