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음
영혼
혼
넋
얼
두뇌
혼령
d라이브러리
"
정신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눈먼자들의 도시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는 일은 드물다. 간혹 영양실조나 생활환경이 급작스럽게 변해
정신
적 스트레스를 받으면 무월경이 올 수 있지만 수개월 안에 회복된다. 만약 임신이 아닌데도 6개월 이상 월경이 없다면 산부인과 진찰을 꼭 받아야 한다. 선천적 맹인 시력 되찾는 건 불가능 영화 후반, 주인공과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달빛만 휘영청 밝게 빛나고 있었다. 사진 찍기에
정신
이 팔려 별 생각이 없었는데,
정신
을 차리고 보니 달밤에 캄캄한 산속에 혼자 있는 것이 아닌가. 그 사실을 깨닫자마자 온몸에 전율이 일었다. 밤에 무서움을 잘 안타는 편이었지만 나도 모르게 주변을 두리번거렸다. 그래도 사진은 마저 ... ...
번쩍! 메가번개를 맨눈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봤을 뿐 정작 눈으로는 직접 보지 못했기 때문. 게다가 사진을 찍고 기록하는 일에
정신
이 없다 보니 어디가 어디인지 신경 쓸 겨를도 없었다.하지만 ISS에서의 마지막 식사를 하고 귀환용 소유스 우주선에 짐을 모두 실은 뒤 예정에 없던 짬이 생겼다. 지구로 함께 돌아갈 유리 말렌첸코와 페기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탓에 암컷에게 따돌림을 받아 짝짓기를 못한다.사람이 보나질병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정신
분열증이나 양극성 장애를 앓을 수 있다. 영화에서 좀비들이 침을 흘리며 다른 사람들을 난폭하게 공격하는 행동은 이들 바이러스에 의한 증상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 아닐까.이 밖에도 인간 사회를 위협하는 ... ...
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정신
질환의 진단과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진행 중이고, 대표 저서로 ‘뇌영상과
정신
의 이해’가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따뜻한 마음은 머리 안에 ... ...
[생물]도파민의 작용 원리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극단적인 예가 파킨슨병입니다. 하지만 도파민이 과다 공급되면 도파민 항진증(
정신
분열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도파민이 적당히 분비될 때 긍정적인 감정 반응이 유도된다는 면에서 답안을 작성합니다.예시답안1) 도박을 하면 뇌에서 도파민이라는 일종의 마약성분이 분비된다. 도파민은 ... ...
대칭성 깨뜨려 노벨상 움켜쥐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는 1917년 일본 최초로 설립된 기초과학 분야의 국가연구기관이다. 2005년에 간행된 ‘리켄
정신
88년’이라는 사료집을 보면 일본 현대과학에 큰 영향을 끼친 연구자들의 업적이 나열돼 있는데, 그중 단연 눈에 띄는 인물이 니시나 요시오라는 물리학자다.그는 30세 때 연구소 지원을 받아 유럽 ... ...
억울한 우울증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생기는지부터 얘기해 줄게. 사실 원인은 개인마다 달라. 크게 두 가지인데, 하나는
정신
병에 속하는 우울증이야. 그런데 이런 경우는 드물어. 요즘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우울증은 이런 부류가 아니라 몸의 영향을 받는 경우야. 정확히 말하면 뇌라고 해야겠지. 이게 두 번째야.‘프로작’이란 약 ... ...
환경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아니기에 닦아진 길보다는 가지 않은 길이 더 많다. 가지 않은 길을 걷는 데에는 도전
정신
과 끈기가 필요하다.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 환경재료는 주로 대학원에서 다루는 연구 주제다. 적용되는 분야가 넓기 때문에 학부시절에 배우는 여러 과목을 기반으로 해 나무가 아니라 숲을 보는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벗어날 수 있어야 한다. 프랑스의 미생물학자 루이 파스퇴르는 이를 ‘기회는 준비된
정신
에게만 찾아온다’는 말로 표현했다. 독일의 물리학자이자 철학자인 게오르그 리히텐베르크는 “모든 발견은 그것이 결과에 얼마나 가까이 있느냐 멀리 있느냐의 차이가 있을 뿐 모두 우연에 속한다. 그렇지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