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힘"(으)로 총 6,293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후 다리, 최첨단 기술로 관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케이블이 느슨해져 사고가 날 수도 있거든요. 이때 다리의 연결부나 교각, 상판 등 큰 힘에 노출되는 부분에 센서를 부착하면 다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지요. 손훈 교수는 “개발한 센서는 비교적 규모가 큰다리에 사용하고 있다”며, “센서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리의 안전성을 파악하고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반짝반짝 결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결정성 물질’이라고 불러요. 배열이 규칙적이기 때문에 입자들 사이에 잡아당기는 힘도 균일하고 이를 끊는 데 필요한 에너지도 일정해 녹는점이 일정하다는 특징이 있지요. 하지만 모든 고체가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는 건 아니에요. 고체를 이루는 원자나 이온의 배열에 규칙이 없는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깃동잠자리가 힘이 장사네요! 가느다란 다리로 나뭇가지를 번쩍 들고 있어요!”힘이 장사인 깃동잠자리, 귀한 제비동자꽃, 수서곤충 사냥꾼 자가사리, 잘생긴 옴개구리…. 곤충, 식물, 민물고기, 양서류까지! 이 모두를 만날 수 있는 탐사가 있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지요. 올해 개원한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위해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 페이스북 등의 기업들이 해저 케이블을 설치하는 데 힘을 쏟고 있지요.그렇다면 해저 케이블은 어떻게 설치할까요? 우선 해저 케이블을 싣고 원하는 장소까지 운반할 수 있게 특별히 제작된 커다란 배가 필요해요. 이 배에는 수천km 이상의 케이블을 감을 수 있는 원형 ... ...
- [현장취재 2] 첨벙첨벙! 갑천에 민물고기 탐사대가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크게 머리, 몸통, 지느러미로 구분해요. 이중 물고기가 빠르게 헤엄칠 수 있도록 힘을 내는 기관은 지느러미예요. 가슴지느러미는 수평을 담당하고, 꼬리지느러미는 추진력을 담당하지요. 물고기마다 꼬리지느러미의 모양이 다른데, 문제를 하나 낼게요. 둥근 꼬리지느러미(원형)와 가운데 부분이 ... ...
- 여우각시별, 이수연 사원의 웨어러블 로봇이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스스로 훈련을 통해 어느 정도의 진동이 물컵을 들어올리면서도 깨지지 않을 정도의 힘인지 파악할 수 있다. 최근에는 뇌에 센서를 심고 직접 전기자극을 줘 감각을 인식하게 하는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2016년 미국 피츠버그대 메디컬센터 연구팀은 온 몸이 마비된 남성 환자의 뇌 감각 피질에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방법이 잘못됐다는 문제가 제기되면서 밀가루에 엽산을 첨가하는 법을 제정하는 쪽으로 힘이 실릴 듯 합니다. 영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는 점은 과학은 사회와 동떨어져 있는 학문이 아니라는 겁니다. 사회가 어떤 연구를 활성화할지를 결정하기도 하고, 반대로 연구가 사회의 발전 방향을 정하기도 ... ...
- 코딩으로 수학 배우고 R&E까지 폴수학학교수학동아 l2018년 12호
- 배워나가도록 하고 있다. 박 교장은 “코드를 짜는 기술 길러주는 게 아니라 생각하는 힘을 기르고, 코딩이 왜 필요하며 어디에 활용할 수 있는지를 스스로 깨닫게 해 주려 한다”고 말했다. 수학과 관심 분야를 코딩 활용해 연구 폴수학학교 재학생들은 필수적으로 수학 분야와 자신이 관심 있는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2] 왜 대학은 독서를 중요하게 생각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자녀가 국어·영어·수학을 공부하는 시간의 반이라도 독서하는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힘써주시기를 당부 드린다. 독서와 관련한 서울대의 답변을 통해 마지막 인사를 갈음하고자 한다. “어떤 분야의 책이든지 읽고 또 읽어가는 사이에 생각하는 힘, 글쓰기 능력, 전문 지식, 의사소통 능력, 교양이 ... ...
- [과학뉴스] 무선 곤충 로봇 ‘로보플라이’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전달 받아요. 레이저를 로보플라이에 쏘면, 로봇 안의 광전지가 이를 전기로 변환해 그 힘으로 날개를 퍼덕여 떠오르지요. 연구팀은 “로보플라이는 아직 이륙과 착륙만 할 수 있지만, 더 자유롭게 비행할 수 있도록 연구할 예정”이라고 말했답니다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