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뉴스
"
끝
"(으)로 총 3,28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슬아슬한 미끄럼대
팝뉴스
l
2020.07.30
웃음이 나오게 만드는 미끄럼대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화제다. 미끄럼대의
끝
부분이 땅과 맞닿아 있지 않고 1미터 높이에 있다. 어른들의 무성의가 아이들에게 큰 위험이 될 수 있다는 걸 잘 보여주는 사진이다. 보통 아이들은 사용할 수 없는 미끄럼대다. 엄청난 점프력이나 비행 능력을 ... ...
최기영 과기장관 "국산 코로나19 백신 내년 9월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7.29
“외국에서 개발되는 것을 100% 의존할 수 없기에 우리는 우리 나름의 백신 개발을
끝
까지 가자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최 장관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인 빌 게이츠 빌 앤드 멀린다 게이츠 재단 회장이 지난 20일 문재인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SK바이오사이언스가 백신 개발에 성공하면 ... ...
4차례 개정
끝
에 풀린 '우주개발 걸림돌'
동아사이언스
l
2020.07.28
2013년 1월 30일 나로호가 발사되는 모습이다. 나로호 상단은 고체연료를 쓰는 로켓으로 한미 미사일 지침의 제한에 따라 추력이 8t으로 맞춰졌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한미 미사일 지침이 4차 개정을 통해 우주발사체에 대한 고체연료 사용 제한을 해제하면서 고체연료를 사용한 민간의 우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달라붙기만 하는 TALE를 두 개 만들어 각각에 DddA 조각을 붙였다.
끝
으로 여기에 UGI라는, 우라실(U)을 다시 C로 바꾸는 효소를 억제하는 단백질을 붙였다. U는 DNA를 이루는 염기가 아니라서, 미토콘드리아에는 게놈의 DNA에 U가 있을 경우 C로 바꾸는 효소가 있기 때문이다. ... ...
[주말N수학]끈기와 소신을 지키는 수학자 스티븐 스메일
수학동아
l
2020.07.25
시간 견디면서 만들어집니다. 스메일 교수의 삶을 통해 고귀한 것은 올바른 소신과 인내
끝
에 탄생한다는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 ... ...
러시아발 부산항 입항 첫 환자부터 방역망 붕괴 위기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먼저 내린 전 선장이 확진 판정을 받은 사실이 선사로 알려지면서 뒤늦게 검사를 한
끝
에 발견했다. 정부는 지난달 24일에야 모든 러시아 선박에도 승선검역을 하기로 했다. 하지만 승선검역도 한계가 있었다. 이달 24일 32명이 감염된 것으로 확인된 페트로1호는 지난 8일 입국 당시 승선검역을 ... ...
꼼꼼히 따지고 고민했더니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증설 찬성률 올라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더 짓는 방안을 추진했고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 1월 10일 맥스터 추가 건설안을 표결
끝
에 의결했다. 추가 건설되는 맥스터는 기존 맥스터와 동일하게 16만8000다발의 다 쓴 핵연료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용량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기존 맥스터가 포화되기 전까지 맥스터를 안정적으로 ... ...
남극 찬 바다서도 메탄 유출…흰색 매트 '침출지'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0.07.24
있다는 얘기를 듣고 연구에 착수해 샘플을 채취하고 주변 환경 등에 대한 장기 연구를 한
끝
에 결과물을 냈다. 연구팀은 남극 메탄 침출지 주변에서는 다른 해역에서와는 달리 미생물군이 빠르게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Andrew Thurber, Oregon State University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이는 ... ...
[사이언스N사피엔스]19세기 천문학 '새로운 행성들의 시대'
2020.07.23
불린다.)이었다. 백조자리는 북십자성으로도 불린다. 백조의 꼬리, 또는 십자가의 위쪽
끝
에 해당하는 별이 데네브이고 데네브와 십자가의 왼쪽 팔 사이에 61번별이 있다. 베셀이 관측한 연주시차는 약 0.31초였다. 1초 각도는 1도 각도의 3600분의 1이다. 앞서 말했듯이 지구에서 보름달, 또는 태양을 ... ...
코로나바이러스의 침투 무기 '스파이크 단백질', 모양 바꿔 면역 회피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2
전과 후에 다른 형태를 보였다. ACE2 수용체를 만나기 전 스파이크 단백질은 기존에 알던
끝
부분이 더 두꺼운 돌기 형태를 보였다. 반면 결합 후에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좀 더 길쭉하면서도 단단한 형태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구조 변이가 ACE2 수용체와 결합하기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