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뉴스
"
난
"(으)로 총 1,297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란 장미-미니 무궁화-시들지 않는 카네이션… "꽃보다 과학"
과학동아
l
2014.05.02
종자에 방사선의 일종인 감마선을 24시간 동안 쪼여 잎에 황금색 줄무늬가 있는 희귀
난
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또 기존 무궁화 종자에 감마선을 쪼여 돌연변이를 유발해 원래 품종보다 크기가 작은 무궁화 ‘꼬마’도 만들었다. 꼬마는 5, 6년생의 키가 50cm 정도이고 꽃과 잎의 크기도 종전 ... ...
초중고, 체험학습 안전 고민… 버스 대신 걸어서 근처로
동아일보
l
2014.04.23
학교도 늘고 있다. 경기도의 한 중학교 교장은 “몇 년 전 수학여행에서 버스 사고가
난
적이 있다”며 “올해는 현장 체험활동을 모두 직업인 인터뷰로 대체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일부 학교는 아예 교내에 각종 직업체험 부스를 만들어 ‘체험의 날’로 꾸릴 계획이다. 예정대로 외부 체험활동을 ... ...
온 몸이 삼겹살, 신품종 돼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4.21
것이다. 박남건
난
지축산시험장 장장은 “올해 모돈 100마리를 육성해 2015년부터는
난
축맛돈의 보급을 전국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번 보급으로 종돈을 사오는 데 드는 외화를 절감하고 국내 종돈산업을 활성화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
천안함 10배 무게… 인양 두달 걸릴듯
동아일보
l
2014.04.18
세월호는 국내 여객선 최대 규모인 6825t, 천안함은 1220t이다. 천안함은 선체가 두 동강
난
상태에서 하나씩 끌어올렸기 때문에 인양 크레인이 감당해야 할 무게가 세월호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 박종환 목포대 조선공학과 교수는 “배 안에 차량 등 화물이 많이 실려 있는 데다 물까지 가득 차면 ... ...
[채널A] 세월호 침몰 해역, ‘명량대첩’ 울돌목 인근
채널A
l
2014.04.17
수백 척이 지나는 이 항로의 바닷물이 흐르는 속도는 최대 시속 11km에 이릅니다. 사고가
난
오늘도 유속이 시속 8km로, 서해 평균의 2배 이상 빨랐습니다. [인터뷰 : 허룡/국립해양조사원 해양예보팀장] 섬과 섬 사이에 수로가 많은 지역이기 때문에 조류가 상당히 센 지역입니다. 사람이 노를 저어서 ... ...
알콜중독자는 나쁜 기억 못떠올린다고?
과학동아
l
2014.04.08
사실이 새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외측고삐핵에 상처를 입은 쥐는 음주를 하고
난
뒤에 일반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신체적으로 불편하고 좋지 않았던 기억을 떠올리지 못하기 때문에 알코올을 계속 섭취하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플로스원' 2일자에 실렸다. ... ...
니들이 ‘새우’를 알아?
과학동아
l
2014.04.07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일자에 발표했다. 이번에 중국 쿤밍시 인근 윤
난
(Yunnan) 지방에서 발견된 ‘푸시안휘아 프로텐사(Fuxianhuia protensa)’는 생물이 아직 지상으로 나가지 않은 캄브리아기에 살았던, 오늘날 절지동물의 조상이다. 과학자들은 당시 이 원시 새우의 개체수가 무척 ... ...
헉! 한반도에도 대지진이…?
과학동아
l
2014.04.01
갑자기 풀리면 막대한 피해를 주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지
난
해 급증한 지진 발생 횟수를 예의주시하면서 서해지역 지진대에 대한 정밀조사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관련 연구는 아직 시작조차 안한 상태다. 유용규 기상청 지진감시센터 과장은 “어떤 ... ...
기억과 망각의 철학과 생명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3.24
다른 하나는 ‘간섭 모형(interference model)’로 망각은 여러 기억 사이의 경쟁의 결과 밀려
난
기억이 사라지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즉 뇌의 기억용량이 제한돼 있다는 말이다. 이 두 모형은 망각을 수동적인 현상으로 본다는 공통점이 있다. 학술지 ‘셀’ 최근호에는 예쁜꼬마선충의 망각 ... ...
느낌 아니까! 터치는 따뜻한 손으로 천천히…
동아사이언스
l
2014.03.18
몸에 손대지 말아요!” 연인 또는 부부 사이에 다툼이 있고
난
뒤 자존심을 굽히고 다가가 화해의 몸짓으로 어깨에 살짝 손을 얹는 순간 이런 말을 듣게 되면 정이 확 떨어지기 마련이다. 우리는 시각(바디랭귀지)과 청각(대화)을 통해 의사소통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정작 상대하기 싫은 사람을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