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초"(으)로 총 1,45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 음식과 요리를 만나 새로운 길을 찾다IBS l2016.02.29
- 요리는 종합 과학이다. 분자요리를 본격적으로 알린 헝가리의 물리학자 니콜라스 코르티와 프랑스 화학자 에르베 티스가 '분자물리요리학'이라는 이름을 ...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 아시아 첨단축산기술 허브를 꿈꾼다2016.02.26
- 상태이다. 이 생균제는 간균(bacillus), 효모(yeast), 대장균(E. coli) 등의 유용 미생물을 기초로 해 축종별 질병 원인균을 효과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유산균을 조합함으로써 질병 유행 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현재 개발된 복합 미생물 생균제 중 일부는 국내 2위의 양계회사인 마니커와 서울대의 ...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2016.02.23
- 산하 기관으로 설립된 HFEA는 2005년 뉴캐슬미토콘드리아연구센터에 “시험관아기기술에 기초해 미토콘드리아 유전질환을 막을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리고 2011년부터 본격적으로 미토콘드리아 치환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한 검토에 들어갔다. 참고로 2008년부터 2014년까지 ... ...
- 삶을 압축해 놓은 작은 공간, 큐브(Cube, 1997)IBS l2016.02.03
- 영화 '큐브' 탈출을 위한 퍼즐, 그 속에 갇힌 인물들의 심리묘사가 뛰어난 작품이다. - 라이온스 게이트 제공 눈을 뜨니 난생처음 보는 정육면체의 방 안이다. 6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IBS l2016.02.02
- 밝은 빛이 나오는 배경에 예쁜 강낭콩들이 모여 있는 것처럼 보인다. 강낭콩을 그린 선들은 구조물을 이루고 있고 내부 공간은 비어있다. 이 촘촘한 선들은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 바이오 마커, 질병 진단에서 개인맞춤의학까지IBS l2016.02.01
- 직장인 A 씨는 지난해 말 종합건강검진에서 혈액 내 중성지방의 양이 높다는 결과를 받았다. A 씨는 표준체중이었기 때문에 체내 지방의 양이 많을 것이라고는 생각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 2015년을 빛낸 과학기술 뉴스를 찾아라과학기술인공제회 l2016.01.04
- 배터리를 공개해 스마트워치 경쟁에 뛰어들었다. 넷째 연구성과는 'RNA의 비밀 규명'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단은 RNA와 마이크로RNA(miRNA)에 관련된 대형 연구성과를 올해 3개나 발표해 화제가 되었다. 초기 배아 단계는 수정란의 마이크로DNA가 합성되기 전인데 연구진은 모체의 난자 속 RNA가 ...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IBS l2015.12.30
- SF영화의 기본 공식 중 하나가 바로 ‘원격전송’이다. 일명 텔레포트(Teleport), 원하는 공간으로 물체나 대상을 옮길 수 있다는 발상이다. 상상 속 텔레포트는 완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 ...
- 중년건강과 근육 운동과학기술인공제회 l2015.12.29
- 체온과 심장 박동 등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다. 따라서 근육량이 줄면 기초대사량도 떨어진다. 게다가 나이가 들면서 쉽게 피로해져 활동 양도 줄면서 우리 몸이 쓰는 에너지는 더욱 적어지게 된다. 반면 섭취하는 열량은 줄지 않다 보니 넘친 열량은 지방으로 쌓여 줄어든 복근을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8)왼손잡이 DNA 존재를 밝힌 생물학자 알렉산더 리치 2015.12.29
- 단백질을 만드는 복합체인 폴리솜(polysome)을 규명했다. 다들 생명과학 교과서에 나오는 기초연구다. 1979년 결정학자 앤드류 왕과 함께 Z-DNA의 존재를 규명했는데, 이 구조가 몇몇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일부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연관돼 있다는 사실도 밝혔다. 리치는 사업에도 관심이 많아 ... ...
이전1141151161171181191201211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