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정
한정
특별
스페셜
"
특정
"(으)로 총 1,53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과 동물 유전자 편집 시대 주도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접시 위에서 파릇파릇하게 자란 모습을 볼 수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절단해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로, 길잡이 RNA와 DNA를 잘라내는 절단 효소(단백질)로 이뤄졌다. RNA가 목표 DNA 염기서열에 달라붙어 길잡이 역할을 하고 단백질이 DNA를 잘라내는 방식이다. 수년씩 ... ...
'생각만으로 소통하는 시대' 저커버그 꿈 실현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대화를 해독하려는 시도를 이어왔다. 뇌의 피질에는 뇌파를 인코딩하고 대화를 진행하는
특정
영역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저커버크는 지난 2017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서 열린 연례 개발자회의에서 “뇌와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생각만으로 소통하는 시대가 머지않아 열릴 것”이라고 ... ...
"부모로부터 性교육 받은 자녀 안전한 성생활할 확률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대상으로 한 성교육 관련 연구 31건을 모아 분석했다. 여기에 사용된 메타분석은
특정
연구주제의 여러 연구결과를 통합해 분석하는 기법이다.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이들 연구 대상이 된 1만 2464명의 청소년 데이터를 모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부모로부터 성교육을 받은 청소년들은 콘돔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모르핀을 투약하는 경우, 행복한 감정을 느낌과 동시에 장소에 대한 정보를 받아들여
특정
장소 선호 기억을 형성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공포 등 부정적 감정을 없애는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행복감 연구를 확장하는 데 단서가 될 전망이다. 또 중독 연구에도 도움이 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모두가 동의하는 허블상수 구할 수 있을까
2019.07.30
그런데 허블상수는 얘기가 좀 다르다. 새로 발표되는 값이 더 정밀해지는 건 맞는데
특정
한 측정 방법에 대해서만 그렇다는 게 문제다. 예를 들어 과거에는 방법 A로 측정한 결과와 방법 B로 측정한 결과가 차이가 적었고 불확실성이 커 서로 오차범위 안에 있었다. 나중에 좀 더 정확히 측정하면 ... ...
견과류 동물성 단백질에 수면 촉진 효과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원리나 그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는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초파리를 이용해
특정
음식물에 따른 수면행동 변화를 분석했다. 우선 연구팀은 각각의 초파리에 20가지 아미노산을 먹게 했다. 그런 다음 초파리의 수면 변화를 관찰했다. ...
[Science토크]‘알파폴드’ 쇼크로 치열해지는 단백질 구조 분석 경쟁
동아사이언스
l
2019.07.28
쌍들이 3차원으로 접히는 구조에서 나타나는 각도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특정
단백질의 3차원 구조 예시. 선형 아미노산 시퀀스가 여러 방식으로 접히며 3차원 단백질이 생성된다. 어떤 아미노산이 어떤 형태로 단백질 구조를 이루는지 알아내는 것은 생물학계의 오랜 난제였다. 위키미디어 ... ...
“위성데이터와 IoT가 만나면 지금까지 없던 혁신 서비스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7.26
지점에서 생각하지도 못했던 혁신적인 서비스가 생겨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특정
시간대 쇼핑몰에 사람들이 몰릴 때 휴대전화 데이터와 위성이 관측한 기상 데이터, IoT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면 쇼핑몰에 사람들이 몰리기 전 징후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호손 총괄은 민간 기업이 ... ...
익명 정보 10가지만 조합하면 10명 중 9명 맞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4
토대로 성별과 생년월일 등 자신의 정보를 입력하면 어느 정도의 확률로 자신이
특정
되는지를 볼 수 있는 사이트도 개설했다. 드 몽조이에 교수는 “기업들은 GDPR등 강력한 가이드라인을 따르지만 익명화만 하면 이후에는 정보를 마음대로 팔 수 있다”며 “기업과 정부는 데이터가 익명화돼있다는 ... ...
'몸에 열 많은 사람은 살 안 찐다' 과학적 근거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항바이러스 및 면역신호전달, 대사 조절 단백질인 ‘바이페린’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특정
병원체를 지니지 않은 특이병원무균쥐와 아무 병원체에 감염되지 않은 무균쥐를 이용해, 이 단백질이 아무런 감염이나 자극이 없을 때에도 만들어지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간과 심장, 지방 등 조직에서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