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스페셜
"
형태
"(으)로 총 1,71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뉴턴이 있으라 하시매
2019.12.26
해’라 부른다. 울즈소프에 머무는 동안에는 노트 등으로만 정리돼 있던 것을 책자의
형태
로 1687년에 출판한 것이 바로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이다. 이 책은 ‘원리’에 해당하는 라틴어 ‘프린키피아(Principia)'만 따서 《프린키피아》로 더 많이 불린다. 《프린키피아》는 총 3권으로 ... ...
새해 초 밤하늘 수놓는 유성우쇼 펼쳐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6
아시아, 미크로네시아 지역에서 관측이 가능하다. 하지만 한반도에서는 부분일식
형태
로 보인다. 서울에서는 이날 오후 3시53분 시작해 오후 5시2분에 최대, 오후 6시4분 종료된다. 12월 14일 발생하는 개기일식은 달이 태양을 가려 태양의 전부가 보이지 않는 현상으로 한국에서는 볼 수 없고 태평양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
2019.12.21
호들갑 알레르기는 면역계가 과민 반응하는 현상을 말한다. 과거에는 네 가지
형태
의 과민성, 즉 I형부터 IV형 과민반응을 모두 알레르기라고 했다. 먼저 I 형은 면역글로불린 E가 관여하는 것을 말한다. 항원이 들어오면 IgE 항체가 만들어져서 비만세포 등에 붙는다. 세포의 수용체에 항체가 왕창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을 극복하는 방법 '기본연구비'
2019.12.19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을 이용해 연구비를 후원받고 후원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
의 연구비 시스템이다. 이런 새로운 섹터에서 연구비를 지원받는 것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현실적으로 연구개발비의 가장 큰 부분은 정부에서 지출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의 효율성을 높이고 또 ... ...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
연합뉴스
l
2019.12.17
없게 됐다. 노게라스-라라 연구원은 이와 관련, "막대형 핵이 최근에 생겼거나 이런
형태
의 막대 구조가 일반적으로 가정해 온 것처럼 가스를 은하 중심부에 공급하는데 효율적이지 않을 수 있다"면서 "만일 후자 쪽이라면 왜소은하와 충돌하는 등의 사건이 약 10억년 전에 은하 중심부로의 가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혈압 예방에 유산소운동이 좋은 진화론적 이유
2019.12.17
아직 자급자족 농민과 차이가 없지만 심장의 구조는 자급자족 농민과 침팬지의 중간
형태
였다. 침팬지의 좌심실 벽 두께가 3.76㎜이고 수렵채취인의 벽 두께가 2.64㎜인 반면 도시인은 3.23㎜였다. 한편 19~20세 청년 82명 가운데 90일 동안 고강도로 속성 장거리 육상(수렵채취인 생활양식) 훈련을 ... ...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로 최적의 3D 프린팅 기술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창업자인 찰스 헐이 1983년 처음 기술을 내놨다. 헐은 여러 개의 얇은 층을 쌓아올려 입체
형태
의 물체를 만들어 내는 ‘스테레오리소그래피(SLA)’ 방식을 고안했다. 이후 3D프린팅 기술은 빠른 생산시간을 장점으로 시제품 제작 등에 활용되며 시장을 넓혀왔다. 지난 2014년 3D프린팅 기술을 구성하는 ... ...
월성1호기, 표결로 늘어난 수명 표결로 끝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이러한 추세를 따른다면 월성 1호기 영구정지안도 삼세판째로 안건이 올라오면 어떤
형태
로든 의결될 가능성이 크다. 월성 1호기 영구정지는 친원전과 탈원전 진영으로 나뉘어 뜨겁게 대립하고 있다. 지난 111회 원안위에는 이를 반영하듯 52명이 방청을 신청해 원안위가 열리는 원안위 회의실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파커 솔라 프로브' 태양의 비밀을 파헤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대전 입자의 흐름인 태양풍의 가속과 연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자기장이 S자
형태
로 움직이며 태양풍의 속도도 빨라진다는 것이다. 또 태양풍이 기존에 예측된 것보다 태양의 중심으로부터 더 먼 거리까지 퍼진다는 증거도 발견했다. 태양풍은 자전하는 태양을 따라 함께 회전하는데 더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예측하려면 정밀한 남극 지형도가 필수다. 예를 들어 남극 바다로 이어지는 좁고 깊은
형태
골짜기는 빙하 움직임을 가속하는 위험요소 중 하난데, 기존 공간 해상도인 1㎞로는 확인이 어렵다. 연구팀은 19개 연구팀이 제작한 얼음투과레이더 자료에 빙하 움직임 정보를 더해 지도 해상도를 높였다. ... ...
이전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