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훈련
가르침
교훈
교시
양성
트레이닝
훈육
d라이브러리
"
교육
"(으)로 총 4,4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태초의 음악은 어떤 꼴이었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04호
음악은 인간만이 가진 고유한 특성이다. 우리가 흔히 ‘노래’라고 표현하는 새 소리도, 사실은 언어에 더 가깝다. 원숭이 등 상대적으로 인류와 유전적으로 가까운 동물들도 노래를 만들거나 부를 줄은 모른다.도대체 음악은 어떻게 처음 생겨났을까. 학자에 따라, 그리고 관점에 따라 시나리오는 ... ...
앱 만드는 선생님 나훈희 교사
수학동아
l
2017년 04호
교육
에 접목해야 할 거예요. 당장 2018년에는 디지털 교과서가 보급되고 2019년에는 코딩
교육
도 해야 하죠. 교사들도 새로운 방식에 뒤처지지 않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 ...
[과학뉴스] 해리포터 이름을 딴 새로운 게 발견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해리포터에 나오는 등장인물인 ‘세베루스 스네이프’에서 따왔다.미국 UCLA 국제
교육
대학 해리 콘리 교수는 1998년 서태평양 마리아나 제도에 있는 괌 근처 바닷속 산호초에서 이 게를 발견했다. 약 30m 정도 땅을 파고 들어가 살고 있었다. 이때만 해도 새로운 종을 찾았다는 사실을 몰랐다. 하지만 ... ...
[Culture] 유미의 연인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이 유미는 떠나지 못했다.“이럴 거라는 얘기는 계속 들었어. 다 예측하고 있었던 거야.
교육
도 많이 받았지. 몸이 없으면 뭐가 힘들고, 얼마나 외로울 것이고, 대신에 프로그램이 되면 몸이 없어도 얼마나 자유로울 것이고, 정보의 바다가 있고, 사람들과도 계속 접촉할 수 있고, 친구들도 계속 만날 ... ...
[매스미디어] 포켓몬 트레이너 L씨의 피카츄 사냥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오동통한 뱃살을 하고 엉덩이에는 번개 모양 꼬리가 달렸다. 연지곤지 찍은 볼은 백만 볼트짜리 전기를 뿜는다. 몬스터볼 속에 있는 것보다 트레이너와 함께 걷기를 좋아하는 이 요망한 쥐는 귀엽기 짝이 없다. 그래서 결심했다. 피카츄를 잡고야 말겠다고.한국 땅에 수백만 명의 포켓몬 트레이너가 ... ...
[소프트웨어] SW
교육
에 공유를 심다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재생 버튼을 누르면 엔트리봇이 딸랑딸랑 움직입니다. 시작을 누르면 게임이 시작됩니다.”지보초 권류빈 군이 엔트리로 만든 게임 ‘엔트리봇 ... 공유를 핵심으로 한 혁신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이미 눈앞에 있었다. 세 교사가 만들어갈 SW
교육
공동체는 어떤 모습일지 앞날이 기대된다 ... ...
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필즈상 수상자인 마리암 미르자카니 교수가 나올 수 있었답니다. 미르자카니 교수는 여성
교육
에 인색한 나라 출신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더 커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나도 좀 알아 주세요~" 억울한 수학자Part 1. 내 이름은 어디 있나요?Part 2. 왜 그때는 몰라줬나요 ... ...
[2017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즐거운 수학 체험
수학동아
l
2017년 03호
운영합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수학을 사랑하는 여러분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갑니다!
교육
기부 행사 일정-5월: 무한상상 수학체험전 대전광역시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8월: 대한민국과학창의축전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 수학문화축전 경기도 과천시 국립과천과학관-9월: 무한상상 ... ...
[Future] 가장 품위 있는 죽음? 웰빙 위한 웰다잉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사나톨로지스트인 이범수 동국대 생사문화산업학과 교수는 “어려서부터 죽음에 대한
교육
을 한다면 청소년 자살률도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사나톨로지가 발달한 국가와 아닌 국가에서는 급작스러운 죽음을 겪었을 때 대처하는 과정이 다르다. (상상하기 싫지만) 만약 다른 나라에서 ‘세월호 ... ...
[Issue] 과학·공학·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히든 피겨스’
과학동아
l
2017년 03호
편견이 걸림돌이 되는 예도 적지 않았습니다.초창기 여성 과학자들은 과학과 공학
교육
에 헌신했습니다. 1950년대만 해도 한국에 과학교사가 부족해 대학만 졸업하면 수업을 맡아 달라는 청탁이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이후 배출된 여성 과학자들도 연구보다는 대부분 대학에 진출해 후학을 양성하는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