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성"(으)로 총 6,22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너무 많은 양전자, 펄서 말고 어디 출신?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입자들의 소멸과 붕괴 등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양전자는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 중 하나로 전자의 반입자다. 수년간 데이터를 축적한 결과, 과학자들은 예상보다 더 많은 양의 양전자가 지구와 충돌하며, 이는 가까운 펄서(자전하는중성자별)로부터 왔을 것이라고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을 표적 DNA로 안내하는 가이드 RNA(gRNA), DNA 가닥을 끊어내는 크리스퍼 RNA(crRNA) 등으로 구성돼 있다. 크리스퍼-캐스9이 표적 DNA를 자르고 나면, 세포내에 있는 시스템에 의해 DNA가 다시 복구된다. 생물학에서 ‘DNA 수선’이라고 부르는 작업이다. 이때 변이된 DNA를 잘라내고 정상 DNA를 도입하기 위해서,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사건이었다. 이는 라이고 과학협력단이 수 년 전부터 다중신호 천문학의 관측 체계를 구성하기 위해 전 세계의 천문대, 위성 프로젝트들과 긴밀하게 협력해온 데에 따른 쾌거였다. 이번 관측은 중력파를 이용한 다중신호 천문학이 시작된 최초의 사건으로 기록될 것이다. 이는 시작일뿐이다. 앞으로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세포독성 T세포’, 항원을 기억했다가 후에 빠르게 활성화되는 ‘기억 T세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이 분야의 핵심 논문들은 다양한 T세포가 어떻게 분화하고 대사를 조절하는지를 다루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예를 들어, 미국 에모리대 연구팀은 2009년 쥐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나로부터 유전자의 극히 일부만 물려받은 후손들만이 남게 된다. 집단의 유전적 조성은 구성원들이 들락날락하면서 더 빨리 변한다. 따라서 개체나 집단, 종, 생태계 등은 복제자가 아니다. ‘운반자’다. “운반자는 자신을 복제하지 못한다. 자기 몸속의 복제자를 퍼뜨리고자 일을 한다. 복제자는 ... ...
- 통계 법정 사건의 재구성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사건파일 1] 도미노 슈가 대 도미노 피자 도미노 피자와 도미노 슈가, 도미노라는 말이 똑같이 들어가 같은 회사 식품이라고 오해하기 쉽지요? 도미노 피자가 출시되자 오랜 전통을 자랑하던 도미노 슈가 역시 그런 생각을 하고 상표권 침해 소송을 걸었습니다. 도미노 슈가는 우리나라에선 정식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의수를 개발하는 것이다. 인간의 손은 29개의 관절, 34개의 근육, 그리고 123개의 인대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는 손 동작은 무려 100가지가 넘는다. 바이오닉 다리로 더 빨리 달릴 수 있을까사이보그의 여러 능력 중에서 가장 현실에서 구현하기 어려운 기술은 의외로 로봇 다리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보더라도 가장 위에 목뼈, 아래로 내려가면서 등뼈, 허리뼈, 엉치뼈, 꼬리뼈 차례로 구성돼 있죠. 이렇게 축을 따라서 특정한 구조가 발달하는 것을 ‘신체의 패턴화(body patterning)’라고 부릅니다. 몸의 ‘패턴’을 결정하는 혹스 유전자우리 몸이 어떻게 패턴화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초파리에서 ... ...
- [Future] ‘ 마션 인 하와이 ’ 8개월의 기록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화성 탐사’가 시작됐다. 대원들은 공학자, 탐험가 등 총 6명. 남성 4명, 여성 2명으로 구성됐다. 이들은 약 8개월간 하와이의 화성 기지에 머물며 화성에서 살기에 도전했다. 그리고 9월 17일 대원 6명 모두 ‘지구’로 무사 귀환하며 올해 미션이 종료됐다. 화성 기지는 언제라도 도심으로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따라 아침형 혹은 올빼미형 생활 패턴을 동반하는 유전질환이 나타난다. 생체리듬을 구성하는 생체시계 유전자와 그 작동 원리가 초파리와 인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에서 매우 유사하게 작동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이렇다. 24시간 주기의 지구 자전은 낮과 밤, 대기 온도 등 매일 규칙적인 환경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