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초
근원
밑바탕
뿌리
기본
원천
근거
d라이브러리
"
근본
"(으)로 총 1,27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의 보람과 좌절이 점철된 연구소 24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줄여도 하겠다니 애초에 불린 것 아니냐'고 반문한다. 이처럼 상호불신이 악순환하게 된
근본
적 원인을 한국화학연구소의 한 책임연구원은 이렇게 설명했다. "선진국을 따라잡으려면 모든 것을 할 수는 없고 필요한 분야만 하고 건너뛰는 전략을 펴야한다. 이때 무엇을 하고 무엇을 건너뛰느냐는 ... ...
한국철강협회 부회장 김학기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있다는 것이다. 항공기 자동차의 예에서도 그런 추세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근본
적인 이유가 있다. "서구와 미국의 철강공업은 이미 경쟁력을 상실했읍니다. 오래 전에 완성한 설비가 이미 노후화했는데 이것을 새로 바꾸자니 건설비가 엄청나게 들기 때문에 엄두를 내지 못하고 있지요. ... ...
한국과학기술의 미래 자립이냐 종속이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경공업 제품의 최종소비재를 주로 수출하는 양국의 수직적 분업구조에 있지만
근본
적으로는 일본과 한국의 기술격차에 있다. 우리나라는 중화학공업화에 필요한 시설재, 부품, 소재를 거의 일본산으로 충당하고 있다. 특히 기계공업의 대일 의존은 심해 83년을 기점으로 기계공업 전체의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다글러스사의 델타2914의 설계를 도입한 것이다. 그러나 H-I의 경우는 제2단, 제3단이
근본
적으로 다른데 특히 제2단에는 액체산소와 액체수소를 추진제로 하는 국산 LE-5엔진이 장비되어있다. 액산, 액수엔진을 실용화한 것은 미국, ESA, 중공에 이어 일본이 세계 4번째가된다(소련은 아직 이 종의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발명의 어머니라면 놀이는 발명의 아버지라 말한다. 놀기 좋아하는 태도는 창조력의
근본
바탕이 되는 것이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해내는 것은 놀고 있을 때나 휴식을 취하고 있을 때가 대부분이다. 그것은 마음의 무방비상태에서 법칙이나 고정관념에 신경을 덜쓰기 때문이다. 고대 ... ...
실리콘은 사라지는가 광전자(光電子)시대의 반도체소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갈륨비소가 실리콘보다 절대적으로 우세한 이유는 무엇인가? 이것 또한 두 반도체의
근본
적인 물성차이에서 오는 것으로서, 전문적인 용어를 쓰면 실리콘이 간접띠간격(Indirect Band Gap) 물질인데 반하여, 갈륨비소는 직접띠간격(Direct Band Gap) 물질이기 때문이다. 물리의 기본법칙에 의하여 빛과의 ... ...
인체 유전자가 모두 판독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특별한 바이러스는 어떤 상황에서 인간의 특정 유전자에 잠입하는가? 당뇨병과 고혈압의
근본
원인은 어디에 있을까? 이런 의문은 분자 생물학이 발달한 오늘날에도 시원스런 해답을 얻지 못한 채 과학자들의 머릿속을 맴돌고 있다. 문제해결의 열쇠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 인간의 유전자를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선단의 우주론이 이런 수수께끼에 도전하고 있다.빛으로만 가득찬 우주오늘날 우주론의
근본
적 한계는 이 우주를 밖에서 볼 수가 없다는 것이다.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는 것도 밖에서 우주가 풍선처럼 커지는 것을 확인한 것이 아니라 우주내 두 지점이 점차 멀어지는 것을 관측해 알아낸 것이다. ... ...
'만물의 이론'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위해선 앞서 살펴본 물질의 기본입자와 함께 만물을 지배하는 4가지
근본
적인 힘이 보다
근본
적인 하나의 힘의 다른 모습임을 밝혀야 한다. 과학자들은 그 실마리를 빅뱅(대폭발)에서 찾는다. 즉 우주가 상상을 초월하는 온도의 한 점에서 폭발할 당시 네개의 힘은 같은 크기였고 실제로 하나의 ... ...
하늘을 나는 인간의 꿈 기구에서 초음속 비행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그러면 공중에서 새가 나는 것을 알게 된다"는 등 새가 나는 방법에 관해서 다각적이고도
근본
적인 연구를 하였다.비행기의 역사에서 반드시 거론해야 할 사람이 또 있다. 그가 R.후크(Robert Hooke:1635~1703)이다. 그가 17세기 후반에 비행에 관한 몇 가지 실험을 한 것은 분명하지만 아쉽게도 상세한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