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기
외기
에어
대령
사후
만지기
달기
d라이브러리
"
대기
"(으)로 총 3,322건 검색되었습니다.
“성공은 ···· 기다림에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살짝 오는 11월 초순 연구실에서 만난 이창준 단장은 “굵직한 연구들이 뒤에 줄줄이
대기
하고 있다”며 순박하게 웃었다(이 단장은 지난달에 과학동아 정기구독까지 미리 신청하는 센스도 있었다).“요즘 좋은 연구를 많이 내놓는 비결이 무엇인가”라고 물었더니 이 단장은 대뜸 “KIST에서 나를 ... ...
Part 2 . 새끼흑점의 서바이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일부가 새끼흑점 아래에서 밀도가 높은 곳을 만나면 다시 튕겨 위로 올라간다. 이 힘으로
대기
층(채층)에서도 어느 정도 상승운동을 하다가 중력에 끌려 점점 속도가 줄어들다 다시 떨어진다. 아직 자세히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새끼흑점은 흑점폭발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새끼흑점이 태양 ... ...
겨울 한파, 북극 해빙은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폭염을 일으킬 수 있다. 또 가을부터는
대기
가 냉각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수분과 열을
대기
와 주변 지역으로 공급해 폭설을 낳을 가능성도 높다. 결과적으로 북극 해빙의 감소는 당분간 여름에는 지구온난화를 부추기고, 가을부터 겨울까지는 북반구에 한파를 일으켜 계절적인 기온의 양극화를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플루오린화 칼슘으로 변하고 나면 더 이상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는다.그런데 이번처럼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플루오린화 수소가 에어로졸 상태로 유출되면 사실상 뾰족한 대책이 없다. 가스가 넓은 공간으로 퍼져나가거나, 빗물에 녹아 지표로 떨어지기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 공기 중으로 퍼져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2003년 양자 전송의 거리는 800m로 늘어났다가 최근에는 143km까지 연장됐다. 앞으로
대기
권 바깥의 인공위성으로도 양자 전송 실험을 할 계획이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도 양자 전송과 관계가 깊다. 인간은 오랜 꿈이었던 순간 이동의 열쇠를 갖게 될 것인가.영화 ‘플라이’(1986)에는 물체를 순간이동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가열되면서 내부의 휘발성 물질이 급격히 기화돼 빠져나갈 때 생긴다. 베스타를 빼고는
대기
가 없는 천체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다. 베스타의 표면에는 휘발성 물질이 상대적으로 많다는 뜻이다. 이 휘발성 물질의 성분은 대부분 수산기(OH)거나 얼음(H2O)일 가능성이 높다.아울러 베스타의 가장 오래된 ... ...
“절대 공부하는 척만 하지 않아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등 여러 상황을 가정해서 연습했는데 막상 실제 면접에 가니 분위기가 화기애애했다.
대기
시간 10분 동안 미적분 문제 몇 개를 풀고 면접관 앞에서 말로 설명했다. 그리고 희망진로에 관한 질문을 받았다.요즘 리나 학생은 학회 활동으로 바쁘다. 노래 학회다. 벌써 공연도 했다. 그는 공연에서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정인지뿐만 아니라 여러 수학선생들이 세종대왕이 공부하다가 질문할 것을 대비해 늘
대기
하고 있었다.세종대왕의 수학 사랑이 널리 알려지자, 경상도 지역에선 중국의 수학책 을 새로 제작해 100권을 세종대왕에게 바쳤다. 그런데 세종대왕은 관료들도 수학을 공부해야 한다며, 집현전 ... ...
잎의 부식 속도는 정규분포를 따른다!
수학동아
l
2012년 11호
부식이 일어나, 이산화탄소가 방출된다. 자연적인 부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는
대기
와 해양으로 들어가는 이산화탄소의 약 90%를 차지한다. 따라서 잎이 썩는 속도를 이해하는 것은 이산화탄소의 전세계적인 흐름을 예측하고, 더 좋은 기후변화 모델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하지만 사실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근처에 구름씨를 뿌려 태풍의 중심을 넓혀서 소멸시키는 방법입니다. 실제로 미국 해양
대기
청과 미해 군은 1969년 허리케인 ‘데비(Debbie)’에 씨를 뿌려 최대풍속을 30%나 줄이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씨를 뿌리지 않아도 바람이 자연적으로 감소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이 있죠. 최근에는 ... ...
이전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