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도움"(으)로 총 8,146건 검색되었습니다.
- [그림으로 보는 수학] 나누고 모아서 분수를 소수로, 소수를 분수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분수와 소수가 함께 있는 식을 계산하기 위해선 분수와 소수를 자유자재로 바꿀 줄 알아야 해요. 어떻게 하면 되는지 오늘도 달콤한 비법을 알려줄게요. ...
- [특집] ‘민주제도’를 이끌 새 이장은 누구~? 이장 선발 대소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결과는 과연?Part3. [특집] STAGE 3 민주주의의 미래. AI로 국민을 위한 정치를 한다고? ★ 도움배성호(서울송중초 교사), 양중식(㈜아이와즈 대표), 엄석진(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 장봉수(UNIST 수리과학과 교수), 한규섭(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참고자료박경미 ‘박경미의 수학N’, 조지 ... ...
- [수학게임X파일] 추론 능력이 쑥쑥! 퍼즐 게임 매머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수학적 추론 능력을 이용해 퍼즐을 푸는 게임이에요.” 게임 전문가인 오규환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님은 퍼즐 게임 ‘매머드’를 어수동 친구들에게 추천하며 이렇게 설명했어요. 수학적 추론 능력이라고? 다소 어려운 단어인데요,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에 ... ...
- [이슈] 별별자전거로 떠나는 세계여행, 자전거랜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자전거랜드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게임을 시작하기 전에 먼저 어떤 지역을 모험할지 정하세요. 각 맵마다 여행지와 꿀 조합인 자전거를 추천했으니 자전거의 특징을 잘 보고 선택해야 합니다. 각 자전거만의 장점을 이용해 모험 코스를 완주하는 것이 게임의 목표! 우리 모두 빠르고 안전하게 결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중요한 역할을 할 거라고 힘주어 말했어요. “더 정확한 연구를 위해 시민과학자들의 도움이 필요해요. 지난 연구에서 사용한 홍릉수목원의 데이터는 일부가 사라졌거든요. 전국의 지사탐 대원들이 탐사한 자료가 차곡차곡 모여서 10년 이상 쌓이면, 미세 기후*에 대한 다양한 연구도 할 수 있을 ... ...
- [에디터 노트] 식물과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점자로 삽입하고 음성 기사를 연결시켰습니다. 이런 시도가 장애인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오직 당사자만이 알 수 있는 여러 불편함이 여전히 기사에 대한 접근을 막고 있을지도 몰라요. 다만, 이런 시도를 통해 기자와 독자가 그간 몰랐던 어려움을 함께 공부하고 개선책을 ...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제공하며 정약전의 저술을 도운 실존 인물이다. 실제로 정약전은 책의 서문에서 그의 도움을 받아 저술을 완성할 수 있었다고 고백했다. 창대가 얼마나 뛰어난 자연과학적 재능을 가졌는지 보여주는 장면이 영화에 등장한다. 정약전이 국내 각 지역에서 잡히는 청어에 대해 질문하자, 창대는 영남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같은 상황에서도 자녀 갖기를 굉장히 원하는 분들이 있어요. 그런 분들에게 의학적인 도움을 드리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과동 : 최초의 시험관 아기가 탄생한 것이 1978년이니까, 이제 겨우 40년 남짓 됐는데요. 그 사이에 관련된 과학과 기술은 엄청나게 발전한 것 같습니다. 찬 : 제가 ... ...
- [인포그래픽] 추진력 향상 운동 '힐 드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복합적으로 강화해 보행 중 발이 지면에 닿을 때 에너지의 저장과 발산 기전에 도움을 준다. 1단계움직임을 천천히(3초 정도) 제어하면서 발꿈치를 최대한 아래쪽으로 내린다. 2단계발꿈치가 가장 낮은 지점까지 내려오자마자 즉시 다시 위로 들어올린다. 서서히(3초 정도) 제어된 운동을 통해 ... ...
- [논문탐독] 자연에 한층 가까워진 움직임 소프트 로봇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읽는 것을 생활화하고 있습니다. 연구 아이디어를 얻거나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많이 됩니다. Q2. 논문 잘 읽는 노하우가 있는지?논문은 새로운 것을 연구한 결과물이기 때문에 관련 지식이 없으면 이해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모르는 내용을 알아내기 위해 논문에서 인용한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