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활"(으)로 총 7,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JOB터뷰]유쾌한 지구 생각 십년후연구소 조윤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웃음) Q 그럼 취업에 실패해서 음악을 시작한 건가요?아니요, 황신혜밴드는 취미 생활이었어요. 제가 살던 홍대 앞에 음료와 음식을 팔고 공연도 여는 ‘곰팡이’라는 가게가 있었는데, 사장이 가난한 예술가는 외상을 해준다고 해서 단골이 됐지요. 그러던 어느 날 사장이 크리스마스 선물로 ... ...
- 취미생활파 수학동아 l2019년 08호
- 지도 몰라요. 2001년 신경학자인 마커스 라이클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교수가 취미 생활을 하거나 휴식을 취할 때 더 활발해지는 부분을 발견했습니다. 바로 뇌의 바깥쪽 측두엽과 두정엽, 안쪽 전전두엽을 일컫는 ‘디폴트 네트워크(default network)’죠. 우리의 뇌는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서 ... ...
- 발바닥 굳은살, 오해해서 미안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용체(FA1, FA2)의 민감도를 측정했다. 그 결과 맨발로 생활하는 그룹이 신발을 신고 생활하는 그룹보다 굳은살이 약 30% 두껍고, 경도 또한 30%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순간적인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FA의 민감도는 두 그룹에서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FA의 민감도는 보행 시 안정성을 ... ...
- 교육 로봇은 어떻게 어린이와 친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에서 연구 중인 박혜원 박사님입니다. 박혜원 박사님은 우리 생활 속에서 함께하는 로봇을 만들고 있지요. HRI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어떤 과정을 거쳐 로봇을 만들까요? "사람과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로봇을 만들어요"●박혜원 박사(이하 박) : 저는 ‘사람이 애정을 가질 ... ...
- [화보] 세포vs 병원체 몸속 슈퍼히어로의 전투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범주와 제 연구를 연결시켜 보려고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어요. 박사학위를 받고 연구원 생활을 할 때였죠. 덕분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정보를 모으고 그림을 그리는 과정에서 제 연구를 세포 전체적인 시각에서 볼 수 있게 됐어요. Q어떤 과정을 거쳐서 그림을 그리나요?우선 몸속 분자의 구조에 ... ...
- 후보5. 실시간 계산 능력은 정어리가 최고!수학동아 l2019년 07호
- 계산 실력을 자랑하는 우리가 바로 수학왕 아닐까요? 사자, 원숭이, 사슴 등 무리지어 생활하는 동물은 많습니다. 터전을 옮기거나 먹이를 찾을 때 그리고 적과 싸울 때도 무리를 지어 행동하죠. 몸집이 작은 우리 정어리도 무리를 지어 상어처럼 큰 물고기가 위협할 때 거대한 하나의 물고기처럼 ... ...
- 영감┃우주인의 드레스룸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것은 우주인을 꿈꾸는 모든 이들의 영원한 ‘로망’이다. 하지만 실제로 우주복을 입고 생활하는 건 불편함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너무 크고 거추장스럽다. 특히 국제우주정거장(ISS)처럼 인간의 생존 환경이 어느 정도 갖춰진 곳에서는 비상 상황이 아니면 여압복이나 선외활동복은 짐이 된다. NASA ... ...
- 노약자를 위한 로봇에 힘을 싣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입는 로봇은 이미 군사용으로 개발 중이에요. 또, 몸이 불편한 사람이 좀 더 편하게 일상생활을 누리는 데 쓰일 수도 있답니다. ●정 : 이때 가장 중요한 기술은 무엇인가요?●김 : 사람에게 촉각을 제대로 전달해 주는 게 중요해요. 예를 들어 사람이 입는 로봇을 장착하고 부드러운 인형을 쓰다듬을 ... ...
- 모두의 N-S 방정식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문제가 해결되고, 획기적인 방법을 찾아N-S 방정식이 정말 완벽히 풀린다면 우리 생활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영화 속 물결은 이제 현실과 구분하기 어려워질 거고, 저 멀리 목성의 대반점이 어떻게 변할지 계산하는 것은 물론 은하의 흐름도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속도를 올려도 쉽게 ...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수학동아 l2019년 07호
- 비둘기집의 원리는 경우의 수를 구할 때 유용한 개념으로 원리가 무척 간단해서 실생활에서도 활용할 수 있어요. 사실 처음부터 ‘비둘기집의 원리’ 였던 건 아닙니다. 1834년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사각형 칸으로 이뤄진 서랍장에 진주를 하나씩 채우는 방법을 떠올려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