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앞"(으)로 총 11,3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동의 ‘주체’가 변하다│신희철 한국교통연구원 4차산업혁명교통연구본부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바뀌었을 뿐이다. 지금까지 안 바뀌었던 것은 우리가 이동의 주체라는 사실이었다. 앞으로 인류는 이동의 주체 자리에서 벗어날 것이라고 생각한다. 자율주행차의 등장으로 운전자의 자리에서 내려오고, MaaS가 추천해 준 운송수단에 올라타기만 하면 된다. 내비게이션의 등장으로 공간 감각이 ... ...
- 기술과 안전, 맹목적 기대 경계해야│심지원 동국대 철학과 교수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반영할 때도 있다.2017년 경기 판교신도시에서 열린 자율주행모터쇼에 전시된 자율주행차 앞엔 레이싱 모델이 서 있었다. 사람이 필요 없는 차를 전시하는 곳에서 레이싱 모델이라니 모순적이었다. 이외에도 안전 테스트를 할 때 여전히 평균 남성의 마네킹을 활용한다거나 AI를 학습시킬 때 백인, ... ...
- [특집] 미래가 이끄는 메타버스! 너도 타보지 않을래?수학동아 l2021년 08호
- 게임을 하고, 한 번도 가지 못한 곳을 가보고, 물건을 보기만 해도 관련 정보가 내 눈 앞에 펼쳐지는 세상. 영화 속에서 다 본 모습들이라고요? 하지만 이제 영화가 아닌 현실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미래를 이끄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만들어진다면 말이죠! 곧 다가올 메타버스 세상을 함께 살펴볼까요 ... ...
- [IBS 수학동아 수학동아 l2021년 08호
- ” 빨리 박사학위를 받고 더 넓은 곳에서 자유로운 연구를 하겠다는 포부를 가진 나는 눈앞이 캄캄했다. 내가 나의 연구 성과를 스스로 대견해 하며 하루하루를 허비하고 있을 때, 지도교수님은 성과 없이 연구를 멈춘 나를 안쓰럽게 생각하고 있던 것이다. 사실 이때쯤 같은 지도교수님 밑에서 ... ...
-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덮인 5m2의 태양전지에서 동력을 얻는다. 한 번 충전으로 725km를 달릴 수 있다.상용화를 앞둔 모델도 있다. 2020년 12월 미국 자동차 업체 압테라는 충전이 필요없는 태양광 전기차를 공개했다. 비행기를 닮은 유선형 3륜차로 지붕에 달린 3.1m2 넓이의 태양광 패널로 하루 약 72km를 달릴 수 있다 ...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안전 문제를 정복해야 한다. 이동으로부터의 해방, 편리성은 그 다음 가치라고 생각한다.앞으로 자율주행차 기술은 로봇, 드론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될 것이며 새로운 편의성과 가치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은 확실하다 ... ...
- 운전 약자·도시 문제 해결 앞당긴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도시를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할 것인가’라는 세 가지 이슈를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자율주행차와 플라잉카는 도시의 모습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런 변화에는 사용자의 새로운 아이디어도 중요하게 된다. 미래 모빌리티와 스마트시티의 모습을 ... ...
- [인터뷰] "만화로 수학 공부했어요" 이혜성 아나운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손을 들었고요. 과학 실험을 할 때 선생님을 도와드리는 것도 좋아했어요. 여러 사람 앞에서 부끄러워하지 않고 말하는 게 습관이 돼서 지금 방송일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어수동 어릴 적부터 꿈이 아나운서였나요? 어렸을 땐 그저 다른 친구들을 따라 ‘변호사’가 꿈이라고 적었어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8화. 숫자 암호가 안내한 곳은? 파헤칭단에게 보물을 뺏길 순 없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8호
- “음? 암호와 미로 말인가? 그건 너무 초보적이어서 도굴꾼을 막기엔 힘들겠던걸? 앞으로 유적 관리를 잘 해야겠어.”딱지는 자신감 넘치는 페가수스 선장을 향해 감탄의 눈빛을 보냈습니다.‘제발, 절 데려가 주세요~.’하지만 이런 꼴로는 페가수스 호에 탈 수 없었습니다. 한편 파헤칭단과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그룹이 생물학, 의학, 약학 분야를 이어주는 구심점 역할을 해낼 것으로 기대합니다. Q 앞으로 어떤 연구를 하고 싶으신가요? 생명 시스템 분야에서는 한 가지의 이론과 도구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들이 나날이 늘고 있습니다. 생명과학, 의학, 약학 연구실 등과 협력해 생명 시스템과 관련된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