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해"(으)로 총 6,3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위고의 작품 ! 트위터 사용자들이 이모지로 만든 줄거리를 확인해 보세요. 이해가 되나요? 심지어 한 권 전체가 이모지인 책도 있어요. 2009년, 미국의 개발자인 프레드 베넨슨은 허먼 멜빌의 소설 을 이모지로 다시 쓴 을 출판했죠.책 한 권을 통째로 쓸 정도면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화면이 빛나도록 코딩해야 해요. 함께 승부차기 게임을 만들어 볼까요? ● 'AND'의 기능을 이해하라!코딩에서 입력된 명령이 조건에 맞는지, 틀린 지 ‘참’과 ‘거짓’의 결과를 내놓는 과정을 ‘논리연산’이라 불러요. 이번 코딩에서 쓰인 ‘AND’는 논리 연산의 한 종류로, 입력되는 두 가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이럴 때가 아니에요. 왕자님의 심박수가 떨어지고 있어요!” ● 통합과학 개념 이해하기 : 심장은 스스로 뛴다!심장은 몸 밖으로 나와도 한동안 스스로 뛰어요. 이는 심장이 뇌의 명령을 받지 않아도 수축과 확장을 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때 수축 운동을 시작하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 ...
-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쓰는 캐릭터나 그림도 이모티콘이라고 부르지요.이모티콘과 달리, 이모지는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고유한 그림 문자예요. 컴퓨터에서 쓰이는 표준 언어 코드인 ‘유니코드’에 입력되어 있어 여러 기기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요. 이모지는 일본의 디자이너 구리타 시게타카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여행을 떠났는데 화장실이 급하다고 상상해 보세요. 다행히 화장실 앞에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그림이 붙어 있어요. 어떤 사람이 보더라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그려진 그림 문자를 픽토그램이라고 해요. 관광지나 공공장소에서 쉽게 볼 수 있지요.픽토그램(pictogram)은 ‘그림(picto)’과 ‘전보 ... ...
-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쓰는 문자를 인식할 수 없어요. 그래서 컴퓨터에 문자를 입력할 때는 문자마다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도록 코드를 사용하지요. 아스키(ASCII) 등이 대표적인 문자 코드예요. 그런데 컴퓨터마다 사용하는 코드가 다르다면 정보를 주고 받기 불편할 거예요. 그래서 1987년, 미국의 IT 회사인 제록스와 ... ...
- [가상인터뷰] 수와 기호를 이해하는 꿀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기호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에 큰 의미를 두고 있어. 지금까진 영장류나 새들만 이 관계를 이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거든. 연구를 이끈 애드리언 다이어 부교수는 “곤충의 뇌를 연구하면 간단한 구조로 복잡한 연산을 처리하는 미래의 고효율 컴퓨팅 시스템 설계에 큰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만들었습니다.그러나 중국어 방을 인간에게 적용하면, 인간 역시 언어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건지 불확실해집니다. 우리는 스스로 의식이 있다고 생각하지만, 우리 뇌가 그저 정해진 대로 입력에 따른 출력을 내놓고 있을지 어찌 알 수 있을까요? 인공지능이 인간이 될 수 있을지를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신호는 어떻게 읽나요?뇌 신호 처리 기술의 출발점은 뇌 속 신경 활성과 그 역할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따지고 보면 인간의 모든 행동은 신경세포의 활성으로 결정되기 때문입니다.뇌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두개골 아래 대뇌에 미세 전극을 찔러 넣거나 표면에 부착하는 ... ...
- [SW 진로 체험] 수학으로 일상 속 귀중한 건강 정보 찾는다! 정화영 웰트 생체역학 엔지니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과정 모두 코딩으로 진행되고, 통계처리를 많이 해야 하거든요. 그래서 알고리듬을 이해하고 개발하려면 고등학교 때 배우는 수학 개념이 필요해요. 예를 한번 들어볼까요? 1초와 2초 간격으로 진동하는 신호를 동시에 센서로 얻었다고 하면, 우리가 얻는 데이터는 두 개의 신호가 합쳐진 신호예요.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