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졸업"(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9호
- 세계에 빠져 볼까요? ★유명희 박사님은1954년 서울 출생.1976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졸업.1981년 미국 버클리대학교 미생물학 박사.1981년-1985년 MIT 대학원 박사후 연구원.1985년-1999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2001년-200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단백질긴장상태연구단 단장.20 ... ...
- 01. 다시 태어나도 이공계 가겠다과학동아 l2005년 08호
- 유망성을 꼽은 사람이 41.4%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학교 인지도가 24.5%를 차지했으며, 졸업생의 취업률이라고 답한 사람도 21.4%나 됐다.과학기술인이 청소년에게 추천하는 이공계 분야는 생명과학이 21.3%로 가장 많아 21세기가 생명과학의 시대라는 말을 다시 한번 실감하게 했다. 지구·환경, ... ...
- 파스퇴르의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다시 시험을 치러 4위로 입학했고, 뛰어난 성적으로 화학과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졸업했다. 1849년부터 스트라스부르대, 릴대, 고등사범학교, 소르본대 교수를 거쳐 1888년 자신이 설립한 파스퇴르연구소에서 1895년 생을 마감할 때까지 학생들을 가르치며 연구했다. 재 현 실 험파리의 ... ...
- 똥 박사님! 똥은 다 어디로 갔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8호
- 보지 않을래요? ★박완철 박사님은1955년 경북 상주 출생.1978년 건국대학교 농과대학 졸업.1980년 건국대학교 농학석사.1986년 건국대학교 농학박사.1989-1990년 일본 도쿄대학교 농공대 박사후 연구원.1981년-현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연구센터 책임연구원.1998년 대산농촌문학상 수상.2000년 ... ...
- 포플러로 깨끗한 세상을 꿈꾸는 문학소녀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7호
- 들여다볼까요? ★이영숙 교수님은1955년 전라남도 광주 출생1978년 서울대학교 식물학과 졸업1980년 서울대학교 식물학 석사1988년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식물학 박사1988년-1990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박사후 연구원1990년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조교수현재 포항공과대학교 생명과학과 교수 꽃 보고 ... ...
- 우주선 블랙박스과학동아 l2005년 06호
- 1817년 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 입학, F W 베셀의 천문학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20년 졸업과 동시에 그의 조수가 되었다 인공위성을 이용해 원거리 해양에 직접 가지 않고 관측하는 시스템 데이터 수집위성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해면의 부표(浮標)나 기구(氣球), 또는 동물 등에 부착시킨 발신기에서 ... ...
- 나노 눈으로 세상을 보는 탐험가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6호
- 함께 들어 볼래요? ★문대원 박사님은1952년 경남 사천 출생1975 서울대학교 화학과 졸업1977 한국과학기술원 화학과 석사1984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화학과 박사1984-1985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박사후 연구원2001-2002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재료학과 초청교수2001 과학기술부 이달의 과학자상 수상2 ...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과학동아 l2005년 05호
- 우주가 얼마나 많은데. 인터넷 고스톱 사이트를 처음 만든 사람이 경희대 천문우주학과 졸업생인 것 몰랐죠? 요즘 천문학과 나온 사람들이 왜 이런 생각 안 하는지 몰라. 우주는 손대면 다 처음이에요.”그는 책도 참 많이 냈다. 어렸을 때 읽을만한 천문학 책이 없어서 아쉬웠기 때문이란다. 이번에 ... ...
- 과학에 대한 호기심만 준비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분인지 함께 만나 볼까요?★오세정 교수님은1953년 서울 출생1975년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1981년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물리학 박사1981년~1984년 미국 제록스팔로알토연구소 연구원현재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학부 교수현재 과학기술부·과학재단지정 우수연구센터 복합다체계물성연구센터 ... ...
- 2 미적분 대란, 대학을 강타하다과학동아 l2005년 05호
- 따라서 이과생이라도 수학2와 이산수학 과목을 택하면 미적분을 많이 배우지 못하고 졸업하게 된다. 문과생이 수학1만 공부하고 이공계에 진학할 수 있는 길도 넓다.대학 교수들 사이에서는 이런 방식에 대해 학력 저하라며 비판하는 목소리가 많다. 수학, 특히 미적분은 과학의 기초 체력인데 ... ...
이전1151161171181191201211221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