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념"(으)로 총 2,907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손으로 만지고 즐기는 이노베이션과학동아 l201609
- 헤어졌던 동생도 어느새 친구들 사이에 끼어 재밌게 놀고 있었다. 고학년 반은 에너지의 개념과 디스플레이의 종류 등 조금 더 어려운 내용을 다뤘다. 형, 누나답게 모두들 점잖게 앉아 열심히 듣고 배웠다.20분가량의 이론 수업이 끝난 뒤에는 두 반이 다시 모여 본격적인 체험 활동을 시작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신풍초의 보물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08
- 수 있는지에 따라 멀리 있는 사물을 얼마나 크게 볼 수 있는 지가 결정된답니다.융합 개념 파헤치기개기월식 붉은 달의 비밀그렇다면 빛은 왜 렌즈를 만나면 꺾이는 걸까요? 그 이유는 빛의 속력이 달라지기 때문이에요. 빛은 밀도가 낮은 공기에서 밀도가 높은 렌즈로 들어갈 때 속력이 느려져요 ... ...
- PART 1. 파랑은 없다?수학동아 l201608
- 낸다.최고의 천연 파랑, 울트라마린한편 12세기 즈음, 물감과 유화가 발달하면서 색채 개념이 더욱 세밀해졌다. 당시 아프가니스탄에서 유럽으로 청금석(라피스라줄리)이 전해졌다. 청금석에서는 가장 희귀하고도 특별하게 아름다운 파란색인 ‘울트라마린’을 얻을 수 있다. 이 광물은 이란과 ... ...
- [지식] 공대생 너무만화수학동아 l201608
- 불완전함을 주장했다. 실제로는 할 수 없는 실험이다. 사고실험★ 사물의 실체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머릿속으로 하는 가상의 실험.세미콜론은 컴퓨터공학과, 또는 전산과를 뜻한다. 컴퓨터공학과 학생들의 언어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다. C와 C++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컴퓨터에 명령어를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08
- 내 집처럼 드나들며 눈에 보이는 대로 아무 책이나 읽었어요. 수학책의 경우에는 개념을 따라 문제를 풀었어요. 나중에는 3~4년 위의 학년 수학 문제집도 사다 풀고, 교육방송도 보고 그랬죠. 그러다 보니 수학은 자연스럽게 잘했어요. 그래도 항상 관심이 가는 건 물리였어요. 물리책이나 과학자의 ... ...
- [News & Issue] 양자역학으로 무한의 호텔을 지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둘 중 후자에 방점이 찍힌 연구예요.방정호 한양대 연구조교수는 “무한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물리적으로 구현하려고 한 도전정신은 높이 평가한다”며 “다만 아직까지는 기술이 다른 곳에 응용될 여지는 낮다”고 말했습니다. 조금 김이 새지만 어쩌겠어요. 무한까지 가는 길이 이렇게 멀고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08
- 오른쪽 페이지 그림 참조).이처럼 포괄 적합도가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임은 다음 인용문에서도 드러난다.각각의 개별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개체는 자신의 적합도에 대비해 그 상황에 해당하는 근연도 계수만큼 이웃의 적합도도 일정부분 중시하는 방향으로 종의 ... ...
- [Tech & Fun] 미국 국립대기연구센터(NCAR)과학동아 l201608
- NCAR에서도 최근 차세대 전구수치모델로‘MPAS(Model for Prediction Across Scales)’라는 새로운 개념의 격자 모델을 개발했습니다. 기존의 수치 모델은 모두 같은 모양의 격자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MPAS는 격자 모양을 육각형에서 삼각형까지 다양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덕분에 모델 해상도를 연속적으로 ... ...
- [소프트웨어] 스트링아트수학동아 l201608
- 본인이 잘하는 바느질을 이용해 그래프를 나타냈어요. 실제로 바느질은 직선과 곡선의 개념, 곡선의 굽은 정도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훌륭한 수학 도구였어요. 그래프뿐만 아니라 도형의 움직임이나 함수의 그래프 변화를 나타내는 미분을 설명하기도 쉬웠어요. 그래서인지 1970년대까지도 바느질을 ... ...
- [Career] “새로운 걸 원한다면, 과학자를 내버려 두세요”과학동아 l201608
- 학습과 기억, 노화에 대한 연구를 했으며, 유전자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정의 등 새로운 개념들을 무수히 만들어낸 신경유전학의 대가다.둘의 인연은 민 교수가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던 칼텍에서 시작됐다. 민 교수는 “선생님은 내게 탐험가 기질이 있다는 것을 알아챘고, 역시 탐험가 체질이었던 ... ...
이전789101112131415 다음